[스크랩] MRI 저렴한 종합병원 어디죠? 중고차 이력 정보 확인은 어디서? 유용한 공공정보 top10
by 크리에이터 정관진2014. 2. 11.
정부가 가진 공공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필요한 것은 함께 나누자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것, 아시나요?
요즘 많은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사전공개하고 있죠. 사전정보공개란 정부 기관의 행정정보를 정보공개청구 없이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것인데요. 그 중에는 병원, 유치원, 어린이집, 자동차 관련 정보 등 우리 실생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들도 많이 있습니다.
2013년 공개된 정보들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 정보 쓸만하네~' 생각한 정보는 무엇이었을까요?
1. 종합병원의 MRI 등 비급여항목 가격비교정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홈페이지(http://www.hira.or.kr)의 '병원평가정보'에 공개하는 정보입니다. 환자나 보호자가 의료수가가 비교적 저렴한 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특히 올해부터 병원별 비급여 MRI가격 등을 추가로 공개해 병원 간 비교가 쉬워졌어요. 추가 공개하는 비급여 항목은 MRI진단료, 치과임플란트료, 다빈치로봇수술료, 양수염색체검사료 등 4대 항목으로 대상기관은 43개 상급종합병원입니다.
2. 중고차 사고 및 정비사항 등 토탈이력 정보(국토부)
국토교통부가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www.ecar.go.kr)에 공개하고 있는데요. 등록번호?연식, 사고 및 정비사실, 주행거리 등 중고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중고차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좋다고 하네요. 정비업자는 57개 정비내역, 매매업자는 주행거리, 해체재활용업자는 등록번호?연식 등 이력정보를 자동차민원포털에 입력해 통합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고차를 사려는 분들이 해당 차의 사고이력?정비이력, 압류정보 등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서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줄어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유치원 정보공시 전용사이트인 ‘유치원 알리미(e-childschoolinfo.mest.go.kr)’에서 볼 수 있어요. 전국 국공립, 사립 유치원들의 목록이 지역별로 나와있구요. 각 유치원의 이름을 클릭하면, 교육과정, 학급·원아수, 교원에 대한 정보, 유치원비, 급식·보건·위생·안전에 관한 사항 등 해당 유치원의 정보들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녀 유치원에 보내실 분들은 한번쯤 들러볼 만한 사이트죠.
5. 서울시 어린이집 급식재료 원산지 정보(서울시)
서울시 보육포털서비스(http://iseoul.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우리동네 어린이집'에 보면 서울시내 모든 국공립 어린이집과 서울형 어린이집(총 2794곳)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는데요. 그 중 아이들 식단 재료 원산지가 명시된 급식식단표가 함께 공개되어 있어요. 아이들에게 질 좋은 급식이 되고 있는지 궁금한 분들, 보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6. 학교 폭력실태 관련 정보(교육부)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에 전국 17개 시·도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행동의 원인·결과 등을 포함해 입체적으로 파악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해 두고 있어요. 일단 검색하고 싶은 학교 이름을 넣으면 학생현황, 교원현황, 학업성취도 등 다양한 정보들이 나오는데요, 학교폭력 관련한 정보도 함께 제공됩니다.
7. 전국 100대 명산 등산 정보(산림청)
‘숲에 on 홈페이지(http://www.foreston.go.kr)’에 공개하고 있는데요. 100대 명산을 비롯한 전국 산의 등산로, 숲길 등에 대한 종합정보를 숲 관련 자연관찰, 여행 등 여가활동에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등산 좋아하시는 분들은 이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8. 농촌관광지 등급 정보(농식품부)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 농촌관광사업장 200개소에 대한 경관·서비스, 체험, 숙박, 음식 4개 부문의 품질을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해 관련 홈페이지 '웰촌'(www.welchon.com)에 공개하고 있어요.
9. 국민연금보험료 고액·상습체납사업주 인적사항(복지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www.nhis.or.kr) 첫화면 하단에 '고액 상습체납자 인적사항 공개' 버튼이 있습니다. 체납사업자의 도덕적 해이 예방 및 보험료 자진납부를 유도하기 위해 국민연금보험료 고액·상습체납사업주 인적사항을 공개하고 있다고 하네요.
10. 지자체 행사·축제 원가 정보(안행부)
각 자치단체에서는 행사, 축제를 많이 하죠. 이같은 행사와 축제의 원가 정보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안전행정부 재정고(지방재정의 창고) 홈페이지(lofin.mospa.go.kr)의 첫화면 오른쪽에 '지방재정통합공시'에 들어가면 공시항목 중 마지막에 '행사축제 원가회계정보'가 있습니다. 자치단체의 행사·축제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의 알권리를 충족하기 위해 원가회계정보(행사·축제 인건비, 행사운영비, 대외홍보비 등)를 공개하도록 했다고 하네요.
‘국민들에게 유용한 공공정보 10선’은?
2013년 사전정보공개 사례 중 ‘국민생활에 유용한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일반 국민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되었습니다. 설문조사는 2013년도에 중앙부처 등에서 제출한 약 8만5000개의 정보공개 사례 중 1차로 엄선한 30개를 대상으로 2014.1.13일부터 24일까지 10일간 정보공개 사이트(open.go.kr)에서 인터넷 투표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인터넷 투표에는 1185명이 참여했습니다.
우수 정보공개 사례 목록(국민선호 순)
사전 공표 정보
분야
정보수요자
1. 종합병원의 MRI 등 비급여항목 가격비교정보(복지부)
안전보건
환자
2. 중고차 사고 및 정비사항 등 토탈이력 정보(국토부)
생활경제
소비자
3. 전국어린이집 평가인증결과(복지부)
교육복지
학부모
4. 전국 100대 명산 등산 정보(산림청)
문화여가
관광객
5. 국민연금보험료 고액·상습체납사업주 인적사항(복지부)
행정재정
국민일반
6. 지자체 행사·축제 원가 정보(안행부)
행정재정
국민일반
7. 전국 국·공립, 사립유치원 정보(교육부)
교육복지
학부모
8. 서울시 어린이집 급식재료 원산지 정보(서울시)
교육복지
학부모
9. 학교 폭력실태 관련 정보(교육부)
교육복지
학부모
10. 농촌관광지 등급 정보(농식품부)
문화여가
관광객
언급한 정보 외에도, 위에 말씀드린 페이지에 들어가면 다른 유용한 정보들도 얻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