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있어 의지도 되고 행복해요”
유혜정(21·가명) 씨네 가족은 일주일에 두 번 함께 모여 이야기를 합니다. 밤 늦게라도 한자리에 모이면 자연스레 근황을 이야기합니다.
가슴으로 품은 아이들 10명과 함께 사는 김상훈 목사 가족
유 씨는 남자친구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아빠, 왜 남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꼭 그래야 해?” 유 씨가 입술을 삐죽 내밀며 불만을 토로하자 아버지 유지만(50대·가명) 씨는 “남자는 원래 이상하게 다 그래~”라며 껄껄댑니다. 동생 유혜림(16·가명) 양은 “엄마~ 난 돌인가봐”라며 한숨을 푹 쉽니다. 기말고사에서 수학을 제일 망쳤다며 칭얼대자 가족들은 “괜찮아~ 이제 올라갈 점수밖에 없겠네~”라며 격려해 줍니다. 아버지는 “세대가 다르지만 질풍노도의 사춘기를 지나온 건 똑같다”며 “최대한 요즘 아이들 입장을 이해해 보려 노력한다”고 말했습니다. 유 씨 자매는 “가족한테 말하는 게 가장 편하다”며 “이야기하다 보면 속도 후련해지고 우리 가족이 진심으로 걱정해 준다는 생각에 든든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가정에 소속감’ 70% 육박… 직장·친구보다 압도적으로 높아
최근 경기 고양시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친정 어머니 병문안을 간 딸 김선희(55·가명) 씨. 하얗게 센 머리를 빗어 넘기며 일어난 이순양(83·가명) 할머니는 반색을 하며 반겼습니다. 딸의 손을 덥석 잡고는 쓰다듬으며 “역시 딸이 최고여~”라는 말을 되풀이했습니다. 아들 넷에 딸 하나를 두었다는 이 할머니가 요즘 가장 많이 의지하는 사람은 김 씨라고 합니다.
이 할머니는 “딸이 가장 많이 챙겨준다”고 말했습니다. 김 씨는 “저도 나이가 드니까 엄마의 모습에서 미래의 나를 본다”며 말을 이었습니다. “여자로서 엄마로서 살아온 세월이 같은 걸 느껴요. 일종의 ‘동병상련’이라고 할까요.”
2013년 한 해를 관통하는 화두는 ‘가족’이었습니다. ‘고민거리가 있을 때 주로 찾는 사람’으로 ‘가족/친척’이라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습니다. 2008년 결과(48.6%)와 비교했을 때 4.6%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입니다. ‘친구나 선배’는 33.4%, ‘혼자 해결한다’가 17.0%, ‘종교기관’이 2.9%로 뒤를 이었습니다. 가장 소속감을 많이 느끼는 집단으로도 68.4%가 ‘가정’을 택했습니다. ‘직장’(12.0%) ‘친구’(9.7%) ‘단체나 모임’(3.3%) 등이 그 뒤를 이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수치였습니다.
“우리 사회가 좀 더 모계사회로 진입 시사”
특히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도를 10점 척도로 질문한 결과 배우자가 있거나 가구원 수가 많은 경우 각각 8.9점과 8.6점으로 건강(9.4점)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이상적인 자녀 수가 한 명일 때 희망 성별은 ‘딸’이라고 답한 사람이 66.2%나 되어, ‘아들’이라고 답한 33.8%보다 훨씬 높았는데요. 특히 이상적인 자녀 수를 ‘3명’으로 꼽은 응답자 중 58.4%가 아들 1명과 딸 2명을 원한다고 답해 남아선호 사상은 옛말이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김대균 정책여론과장은 “우리 사회가 좀 더 모계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20대 절반 이상 ‘결혼 꼭 할 필요 없다’
|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토샵 백터마스크 활용법 (0) | 2014.01.05 |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④ 일자리·빈부격차 (0) | 2014.01.05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② 국민행복도 (0) | 2014.01.05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① 더 나은 한국사회 배려를 부탁해! (0) | 2014.01.05 |
[스크랩] 새해 해오름 (0) | 201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