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 대한 배려’가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한 필수 사회 가치로 확산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방증이겠죠. 사실 주변의 힘든 사람들을 생각하고 도움을 주는 것은 우리 민족 본연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으로 대표되는 민족정서도 그렇고, ‘이웃사촌’이라는 말도 그래서 생겨나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효율을 중시하고 앞만 바라보며 달려가다 보니 우리의 본래 가치를 잊었던 것 같습니다. 개인 간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갈등이 많은 요즘, 생활 속에 배려라는 문화가 활짝 피는 날을 상상해 봅니다.
열중 아홉 “타인에 대한 배려 필요”
한국인은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타인에 대한 배려’가 중요하며, 이는 청소년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합니다. K팝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있으며, 행복을 결정하는 기준은 ‘가족’이라고 여깁니다. ‘2013년 한국인의 의식 가치관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인데요.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는 1996, 2001, 2006, 2008에 이어 다섯번째로 실시됐습니다.
2013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개요 |
이번 조사는 배려·존중·공정성·소통 등이 새로운 사회 가치로 확산되고 있는 점을 보여줬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 필요한 가치로 ‘타인에 대한 배려’를 꼽은 응답이 10점 만점에 평균 8.7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기회균등 및 공정성의 확보’(8.5점), ‘윗사람에 대한 존중’(8.5점), ‘사회집단 간 소통’(8.5점) 등도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공통 가치로 제시됐습니다. ‘타인에 대한 배려’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덕목이라는 응답도 55.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왔습니다.
문화 자긍심 높고 모계 중시 추세… 행복 결정 기준은 ‘가족’
많은 국민들은 우리나라 문화에 대해 높은 자긍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가 자랑스럽다는 응답이 문화유산이나 유물, 한식이나 한복, 충효사상을 비롯한 정신문화 등 모든 문항에서 80% 이상 나왔는데요. 특히 K팝 등 대중문화가 2008년 53.6%에서 27.9%p 증가한 81.5%로 조사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새로운 브랜드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 수준도 경제 수준보다 ‘높다’는 응답이 54.5%로 ‘낮다’는 응답(45.5%)보다 많았으며, 문화 분야가 이미 선진국 수준이라는 응답도 31.5%로 다른 분야(경제 21.2%, 법치 5.2%, 정치 3.5%)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현재 문화·여가활동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45.6%였습니다. 5년 전 조사에 비해서는 10.2%p 높은 수준입니다.
또, 한국인은 가족에 크게 의지하고 있으며 가족에 대한 전통적 인식 역시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2008년 조사에서도 한국인의 가족간 유대감은 높았는데요. 2013년 조사 결과, 응답자의 68.4%는 가장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으로 가정을 꼽았고, 고민거리가 있을 때도 친구나 지인들보다는 가족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이 낮을수록 외가 쪽과 더욱 가깝다는 흥미 있는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향후 모계 중시 추세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죠. 친가와 외가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묻는 질문에 ‘어머니 쪽 친척과 더 가깝다’(32.1%)는 응답이 ‘아버지 쪽 친척과 더 가깝다’(28.2%)는 응답보다 많았습니다. ‘양가 친척과 비슷하게 가깝다’는 응답은 39.7%였습니다. 남녀 평등한 사회라는 응답은 53.4%였습니다.
행복 수준 6년 전과 비슷… “합리적 복지가 좋다”
국민들이 느끼는 행복지수는 어떨까요. 전체적인 행복 수준은 2008년과 같은 6.9점을 받았습니다. 5점 이하를 줘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전체의 22.6%였고요. 주목할 점은 행복한 삶을 위한 요소로 소득이나 재산(8.6점), 건강(9.4점) 등을 꼽았으나 만족도에서는 각각 6.6점과 7.8점으로 차이가 컸다는 점입니다.
사회복지 수준은 ‘높다’는 응답이 2008년보다 13.1%포인트 증가한 35.7%로 집계됐습니다. 사회복지 수준의 개선이 미흡한 점도 있으나, 국민들의 기대 수준이 높아진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국민들은 합리적 복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정부가 국민의 복지를 책임져야 한다기보다는 당사자의 책임도 필요하다고 보는 시각이 상당 수준 존재하고 있는 것이죠.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31.5%로 ‘당사자가 생계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 16.5%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2006년도에 시행된 서울대학교 한국학센터의 ‘한국인의 가치관 조사 2006’에서는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이 59.7%로 이번 조사 결과보다 높았습니다. 정부에 대한 복지 의존도가 28.2%포인트 낮아진 것입니다.
문체부 김대균 정책여론과장은 이번 조사와 관련해 “다양한 형태의 갈등과 양극화의 심화에도 국민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가치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통일? 경제적 효과 등 실용적 접근 선호
|
이 글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위클리공감에 실렸습니다.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③ 나의 사랑, 나의 가족 (0) | 2014.01.05 |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② 국민행복도 (0) | 2014.01.05 |
[스크랩] 새해 해오름 (0) | 2014.01.05 |
[스크랩] 말 그림展 <아양아트센터> (0) | 2014.01.05 |
[스크랩] 甲午年 새해맞이 "말 그림 展" <아양아트센터> (0) | 201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