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전에...
때는 2013년 3월 그쯤 개인적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거룩한 땅에 옥수수를 심었던 적이 있었더랬다. 아마 그 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은 전부 완전 친환경 농산물이다. 심어만 놓고 관리를 전혀 안했으니까. 제초 작업 한번 한 적 없고, 농약은 무슨 물도 주지 않았다. 물은 하늘이 줄테고, 농약은 필요 없을 지도 모른다. 생태계는 그 존재의 이유만으로도 어쩌면 완벽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여전히 친환경스러운 약간 수동적이면서 귀차니즘으로 시작된 옥수수와 돼지감자 농사는 그렇게 1년 동안 이뤄졌고, 생각보다는 수확물이 많았다. 그리고 그 수확물은 전부 사회로 환원되었다. 충청남도 예산군 노인복지회관에도 가져다 드리고 충청남도 예산군 향천리 다솜힐 아파트 304동 주민분 들에게도 나눠드리고... 그래서 나눔은 즐거운 것이다.
누군가 그랬다.
우리가 농사를 짓는다고 하였을 때 핵심참여 인력이었던 필자는 심어만 놓고 완전한 방치를 주장했다. 하지만 실제 노동을 수행하는 참모진들은 비닐 멀칭이라도 하자는 주장에 필자는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였고 생산비가 더 들긴 했지만 비닐 멀칭을 하게 되었다.
그땐 알았을까? 그 비닐의 무서움을? 그리하여 오늘은 비닐 멀칭과 그 환경오염에 대하여 서술을 해보려 한다.
멀칭?
멀칭은 노지(露地)에서 잎담배 ·고추 등의 재배에 이용될 뿐 아니라 하우스 등의 원예시설에서도 이용된다.
비닐 멀칭의 효과에 대해서는 재배학 시간에 정말 귀가 따갑도록 들었다. 멀칭의 이유와 효과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효과는 지열을 높여주고 잡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멀칭을 한다. 더욱이 토양의 침식 방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참고로 limlab의 돼지감자 재배 포장은 공주대학교 연구교수인 오태석 박사님이 그렇게 비닐멀칭 하라고 귀뜸했지만 기어코 귀찮아서 멀칭을 하지 않아서 정말 어지간히 고생했다.
아마 돼지감자밭에 그나마 멀칭을 좀 했더라면 저 잡초들은 그나마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괜찮다. 우리에겐 언제나 웃는 얼굴로 잡초를 베어주는 유동렬이 있으니까!
비닐의 안 좋은 점?
농업용 폐비닐은 PVC로 만들어져 대략적으로 토양오염을 야기한다. 물론 완벽하게 제거하면 재활용 자원으로도 이용되나, 실제 완벽하게 제거가 되기란 상당히 어렵다. 실제 비닐이 썩기 까지 200년이나 걸린다고 하니. 한번 잘못 처리하면 200년간은 못 찾는거다.
비닐을 찾아보자.. 숨은 그림이다. 이렇게 실제 비닐은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 미덥겠지만 저기 비닐은 숨어져 있다.
여기에도.. 멀칭은 해야겠는데, 비닐은 환경에도 좋지않고...
식물성 바이오 필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신소재개발과에서는 벼 부산물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바이오 필름을 개발 하였다. 생분해성 바이오 필름이라하면 벼의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필름을 일컫는데 왕겨와 쌀겨는 실제로 단순한 용도로 사용되고 폐기 되곤 한다.
바이오 필름이다.
3개월 후엔 이렇게 분해가 되어버린다.
정말 획기적이다. 환경과 농업생산 두 가지 변인을 모두 충족시키는 해결 방법이다. 이 부분에 대해선 개인적으로 좀 더 연구를 해봐야겠다.
끝으로..개인적으로 자주 보는 책에 이런 글귀가 적혀있다.
Nature is not inherited from ancestors but borrowed from descendants.
우리는 너무나 소중해서 미처 알지 못했던 것들을 너무 쉽게 파괴하는 건 아닌가...한번 쯤 되새겨봐야 할 것 같다. |
| ||||
|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부가 선택진료제에 메스를 들이댄 이유는? (0) | 2013.11.04 |
---|---|
[스크랩] 깊어가는 가을을 농촌에서 더 일찍 느끼는 이유... (0) | 2013.10.31 |
[스크랩] 인생100세시대! 배우GO, 나누GO, 소통하GO~!! (0) | 2013.10.31 |
[스크랩] 환경 일자리에 관심있는 구직자들 주목! `2013 환경산업 일자리 박람회` 개최 (0) | 2013.10.31 |
[스크랩] 탈곡 현장 (0) | 201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