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봉하 경희대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명치 아래가 늘 답답하고 식사를 안 해도 배가 고프지 않아요.""검사를 받아도 이상이 나오지 않는데 늘 속이 불편하고 간혹 아프고 쓰려요."
이런 증상을 호소하며 한방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 위내시경 검사를 해도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데, 당사자는 소화불량이 계속된다. 이런 사람은 대체로 복부 통증· 복부 팽만감·조기 포만감·구토·습관성 트림·속쓰림 등 다양한 증상을 함께 갖고 있으며, 체중이 급격히 줄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기능성 소화장애로 진단한다. 재발률이 높고, 만성화하면 치료기간이 길어진다.
기능성 소화장애는 원인이 다양하다. 선천적으로 소화기 계통 기능이 약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오래 겪은 경우, 신경이 예민해서 무언가에 조금만 신경을 써도 체기가 심해지는 경우, 평소 섭생(攝生)을 잘 못해서 육체적·정신적 과로가 장기간 쌓인 경우, 운동부족이나 다른 장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도 기능성 소화장애를 가져온다.
진단은 사진법을 위주로 하며, 위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위율검사를 참고한다. 위율검사는 위 내부를 들여다보는 위내시경 검사와 달리 체표면 전극을 이용하므로 검사 중에 통증과 불편함이 거의 없다. 위율검사는 식전·식후의 위 운동성을 비교함으로써 음식물 소화와 관련된 위 기능을 간접 확인, 위의 기능이 정상인지를 판별한다.
기능성 소화장애로 진단되면 한약, 침, 뜸, 기공, 복부적외선온열요법, 복부추나요법, 섭생법 지도 등으로 이뤄진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재발을 막는다. 한약치료는 환자의 개별 증상과 체질, 기(氣)의 허실(虛實)에 따라 차별적으로 진행한다. 필자가 재직하는 한방병원과 한약물연구소에서 공동 개발한 '내소화중탕과립'은 위장 운동을 촉진해 급·만성 소화불량을 개선한다. 대표적인 치료제 중 하나인 '반하사심탕'은 조기 포만감을 해소하고 위장 운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임상연구로 확인돼, 올해 SCI급 국제 대체의학 학술지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이와 함께,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위장의 움직임이 방해받아 리듬이 깨진 경우에는 울결(鬱結)된 기를 풀어주는 치료와 침·뜸치료를 통해 전신의 기와 위 운동을 활성화시켜준다. 기능성 소화장애는 재발률이 높다. 따라서 치료를 마친 뒤에도 자신의 체질과 발병 유형에 맞는 섭생법을 익혀서 잘 지켜야 재발없이 생활할 수 있다.
/ 류봉하 경희대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화장실 자주 가는 당신, 날씨 탓일까 예민한 탓일까? (0) | 2013.10.31 |
---|---|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우리가족 건강법 (0) | 2013.10.28 |
[스크랩] 눈 앞에 보이는 벌레! 나도 비문증일까? (0) | 2013.10.23 |
[스크랩] 잠자는 동안 `뇌 청소`…치매 등 신경질환 예방해 (0) | 2013.10.22 |
[스크랩] 딸꾹질 안 멈출 땐 `이 방법`이 특효 (0) | 201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