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2007~2012년) 건강보험 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치핵, 치열, 치루 등 치질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꾸준히 증가해 2007년 74만 명에서 2012년 85만 명으로 매년 약 2.7%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치질 환자는 40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대 > 50대 > 20대 순으로 나타났다.
치질의 종류인 치핵, 치열, 치루는 조금씩 다르다. 치핵의 경우 한자어로 '치(痔)'라는 말은 '항문의 질병'을 뜻하는 말이며 '핵(核)'은 '덩어리'를 뜻하는 말로서, 치핵은 항문이나 하부 직장의 정맥총이 커지고 늘어나 덩어리를 형성한 상태를 의미한다. 치열은 항문의 피부와 점막 사이가 헐어서 문드러지거나 궤양, 파열 등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치루란 항문과 직장 주위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여 농양으로 발전한 경우 이러한 농양이 밖으로 터져 나온 상태로 항문관이나 직장과 항문 주위 피부 사이에 누공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이번 조사 결과, 2012년 기준 치질 질환의 80%를 차지하는 치핵은 남성과 여성 환자 수가 유사했다. 하지만, 치열의 경우 여성이 전체 치열 환자(115,636명)의 54%(62,650명)를 차지해 남성보다 다소 많았으나, 치루 질환은 남성이 전체(49,603명)의 84%(41,750명)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20대 연령대에서는 치핵 및 치열 환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홍영기 교수는 "치질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모르지만 고령, 만성변비, 임신, 하제(설사약), 가족력,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는 습관 등이 치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면서 “특히 20대 여성이 많은 이유 역시 만성변비, 임신 등의 원인이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치질의 예방을 위해서는 섬유질과 수분의 섭취를 늘리고, 화장실에서 오래 앉아 있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좋으며,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갖고, 변의가 느껴지면 참지 말고 즉시 배변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배변 시 과도한 긴장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ks@chosun.com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환자 스스로 투석… 의료비도 절감 (0) | 2013.10.23 |
---|---|
[스크랩] `다리 부기 빼는 동작` 별로 어렵지 않아요~ (0) | 2013.10.22 |
[스크랩] 희귀난치성·중증질환으로 고생하는 차상위 계층에 건강보험 본인부담 면제를 확대합니다. (0) | 2013.10.17 |
[스크랩] 뚱뚱해서 생기는 지방간… 방치하면 간경화·간암 위험 (0) | 2013.10.16 |
[스크랩] 뇌졸중보다 무서운 패혈증, 감기로 오해하다 사망할 수도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