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안이 잘 마르는 구강건조증(입마름증)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 입 마름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은 10~20년 전보다 3~4배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개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드라이 마우스(dry mouth)'로 불리는 입 마름의 원인은 혀 밑 침샘에서 침 분비가 잘 되지 않아 생기는데, 원인과 악영향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침이 부족한 이유는 다양한데, 가장 흔한 이유는 자율 신경계 이상이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면 교감신경에서 아드레날린이 나와 침 분비를 억제하는데,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침 분비 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약물도 입을 마르게 할 수 있다. 주로 혈압·우울증·다이어트 약들인데 교감신경에 작용해 침 분비를 줄인다.
류머티즘 관절염, 쇼그렌증후군 등의 자가 면역질환도 원인이 된다. 류머티즘 등의 자가 면역질환이 있어 침 분비가 잘 안 되는 사람들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침 분비량은 점점 더 감소한다. 노화도 침샘 기능 저하를 초래, 60세 이상의 약 40% 이상이 심한 입마름증을 갖고 있다.
침 분비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이 구강 건강이다. 침은 입 안을 알칼리성으로 유지해 세균이나 음식물로부터 이가 썩지 않도록 해주는데 침이 모자라면 이가 잘 썩고 잇몸 염증도 쉽게 생긴다.
입마름증을 예방하려면 하루 30분씩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평소에 단단한 음식을 씹어먹는 것이 좋다. 웃을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은 타액 분비를 촉진한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건강단신]주변 화장실 찾아주는 앱 나와 (0) | 2013.06.18 |
---|---|
[스크랩] 무더운 여름 세균이 득실, 조심해야 할 5곳 (0) | 2013.06.17 |
[스크랩] 때 이른 무더위에 건강 잃지 않는 방법 大공개 (0) | 2013.06.16 |
[스크랩] 여름철 `손 씻은 뒤` 종이수건 쓸까? 핸드 드라이기 쓸까? (0) | 2013.06.14 |
[스크랩] 쑤시고 콧물나는데 감기일까 냉방병일까? (0) | 201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