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증가하고 간편 요리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전자레인지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무 용기나 무작정 전자레인지를 이용하면 건강 상 유해 우려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전자레인지를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는 전자파가 투과할 수 있는 종이제, 유리제, 도자기제와 합성수지제 중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있다.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HDPE) 등은 사용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HDPE)의 경우 지방이나 설탕이 많은 식품은 100℃ 이상에서 녹을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만 사용해야 한다.
특히,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된다는 소비자들의 인식과 달리 폴리프로필렌(PP)은 DEHP(플라스틱을 유연하게 하는 가소제)나 비스페놀A(폴리카보네이트(PC), 에폭시수지(epoxy resin) 제조 시 사용되는 원료물질)를 원료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레인지 사용 시에도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될 우려가 없다.
한편, 종이제품은 젖었을 때 종이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쿠키 포장 등에 사용되는 왁스코팅 종이는 식품에 왁스가 오염될 수 있어 전자레인지용으로 표기된 제품만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플라스틱 중 컵라면이나 요구르트 용기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PS)은 내열성이 낮아 고온에서 녹을 수 있어 전자레인지에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알루미늄호일(은박지)과 금속 용기는 마이크로파가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기 때문에 식품이 가열되지 않을뿐더러 끝이 날카로운 금속은 마이크로파가 집중되어 불꽃이 일어나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기름이 많은 식품을 랩을 사용해 조리하면 100℃ 이상 고온으로 올라가 랩 제조 시 사용된 가소제 등이 이행될 수 있어 직접 식품과 접촉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밤, 계란, 소시지등 껍질이 있는 음식을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넣고 작동하면 터질 수 있으므로, 껍질을 제거하거나 칼집을 내어 조리해야 한다.
/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최형창 헬스조선 인턴기자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남자가 여자의 4.4배‥의존성만 커진다 (0) | 2012.11.21 |
---|---|
[스크랩] [H story] 노년기 뇌 손상 탓… 52만명 삶의 질 추락 (0) | 2012.11.21 |
국민 1인당 소금 12g 섭취…WHO기준 2배 (0) | 2012.11.20 |
[스크랩] 식후 20~30분 이내 칫솔질 하지 말라? (0) | 2012.11.19 |
[스크랩] ‘긁적긁적’‥하품보다 전염 강한 가려움 (0) | 201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