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환자가 매일 아스피린을 먹으면 사망 위험이 30%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레이던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10년간 대장암 환자 45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영국 암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5일 BBC가 보도했다. 이번 연구에서 4500명의 환자 중 25%는 대장암 진단 후부터, 50%는 진단 전과 후 모두 아스피린을 복용했고 25%는 먹지 않았다. 아스피린 복용량은 하루 80mg 이하였다.
대장암 진단을 받은 이후 아스피린을 먹은 환자 그룹은 복용기간에 관계없이 아스피린을 먹지 않은 그룹보다 사망률이 23% 낮았다. 특히 암 진단 이후 9개월 이상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한 그룹은 비복용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30%나 낮았다.
특이한 것은 대장암 발병 후부터 아스피린을 먹은 환자가 발병 이전부터 먹어온 환자보다 사망률이 12% 더 낮았다는 점. 연구팀은 "대장암 진단 전부터 아스피린을 복용한 사람은 공격적인 형태의 종양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을 이끈 헤릿얀 리퍼르스 박사는 "이번 연구로 아스피린이 대장암 전이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걸 알 수 있다"며 "특히 항암치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70세 이상 노인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사람의 면역세포는 밤에 활동합니다.
인간의 몸은 스스로 손상된 세포를 탈락시키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여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을 방어합니다.
이 과정은 잠을 자면서 전개됩니다
그리고 이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간대가 새벽 1~ 2시입니다. 그래서 이 시간엔 반드시 잠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
새벽까지 일하고 아침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대부분 몸이 약한 반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사람은 건강한 이유가 그것입니다.
저는 ‘저녁 11시 이전엔 잠자리에 들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20년간 종양과 싸우며 말기 암환자 2만명을 진료,평균 20%에 달하는 장기 생존율을 기록한 김용수(48·대전대 교수·한의학) 박사는 암을 극복하기 위한 필수 조건의 하나로 ‘잠’을 꼽았다.
장기 생존율이란 의학적 한도보다 3~5년 이상 생존한경우를 가리키는 용어. 예를 들어 의학적 잔존 수명을 6개월로 보는
말기 위암 환자의 경우, 환자가 6개월을 넘긴 뒤 3~5년가량 더 살았다면 ‘장기생존’으로 본다.!
김 박사는 보약을 지어주거나 여타 질병을 치료해주는 일반 한의사와 달리 ‘암’ 하나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21년의
세월을 보냈다. 그가 ‘수면과 암’에 대해 말을 이었다.
“수면은 ‘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암 중에서도 특히 유방암이 수면과 관계가 깊은데요,
젊은 여성에게 유방암이 생겼다면 십중팔구 늦게 자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현대인은 일찍 잠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네온사인이 밤새도록 돌아가고, TV에 컴퓨터에…숙면을 방해하는 요소가 한둘이 아니죠.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방법은 낮에 "햇빛"을 많이 쬐는 것입니다.
수면을 주관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체에서 분비됩니다.
그런데 송과체는 낮에 햇빛을 많이 받아야 활동이 왕성해집니다. 그리고 멜라토닌은 암세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니까 낮에 햇빛을 쬐면서 운동을 하면 항암효과와 숙면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거죠.
이것은 그 어떤 약이나 주사보다도 효과가 좋습니다.”
김 박사는 ‘낮에 햇빛을 받으며 하는 효과적인 운동’으로 "등산"을 꼽았다.
“암을 이기기 위해서는 우선 암세포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암세포는 태아세포입니다.아주 빠르게 분열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얘기죠.그리고 저산소 세포입니다.
그 래서 산소 공급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도 대사가 이뤄집니다. 그리고40도가량의 열에 취약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현대 의학은 이런 특성을 이용해 간암에 고주파(열)치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비용부담 없이,신체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체온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등산입니다.”
김 박사는 “몸을 튼튼하게 하는 근본적인 건강법은 신체를 많이 움직여서 체내에 산소를 풍부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병 치료에 산소가 끼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수술이든 항암제든 방사선이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반드시 신체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해야 합니다. 특히 암세포는 체내에 산소가 부족할 때 생겨납니다.
따라서 암 환자는 항상 풍부한 산소를 공급해 줘야 하는데 등산은 이 점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또 등산을 하면 체내 온도가 높아져 온 몸에서 땀이 흘러나옵니다. 게다가 산행을 통해 정신적 안정을 취할 수 있고
삼림욕의 효과도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1석 4조인 셈이죠.”
김 박사가 암의 특성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했다. “암 세포는 ‘이성단백질’이라 불리는 일종의 독성 물질을 뿜어냅니다.
그러면 체내의 면역세포가 이걸찾아내 공격을 가합니다.
이 기능을 강화시켜주면 돌연변이 세포를 제거하는 신체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이런 역할을 강화해주는 가장 좋은 식품이 "물"입니다.
물은 체내의 나쁜 요소를 씻어내고 정화하는 데 탁월한 역할을 합니다.
성인 남자의 경우 하루2리터 가량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요점 : 잠, 햇빛, ! ! 등산, 물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英연구팀 “콜레스테롤 저하제, 대장암 80%까지 막아줘” (0) | 2012.05.18 |
---|---|
항문으로 ‘쑥~’, 조금만 참으면 삶의 질↑ (0) | 2012.05.08 |
대장암 치료 막는 돌연변이 단백질 제어 방법 찾았다 (0) | 2012.05.07 |
[스크랩] 명의가 가르쳐주는 대장암에 관한 진실.. (0) | 2012.03.23 |
[스크랩] 대장암 검진은 일년에 한번씩 꼭 받으세요! (0) | 201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