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한방상식

[스크랩] 한약에 대한 불편한 진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2. 2. 13.

요즘 '불편한 진실'이라는 개그코너가 인기라죠... 한약에 대한 불편한 진실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언제부턴가 일반국민들에게 " 한약" 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간에 나쁘다, 중국산 한약재는 중금속에 포함되어 있다" 등이 연상된다고 합니다.

한의사인 제 입장에서는 참 곤혹스럽고 억울한 측면이 없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번 더 생각해본다면 한의계 차원에서 그리고 제 스스로 반성을 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25년전 초짜 한의사로 한의원을 개원했을떄 가끔 한약 특히 보약을 지으러 오신 분들은 이구 동성으로 "양약은 위장에, 몸에 나쁘기

때문에 몸을 보호하기 위해 한약을 먹고 싶다"라는 말씀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런데 언제가 부터 한약은 간에 나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논리로 간주되게 되었답니다.  그 이유는 무었일까요.

 

몇년 전입니다. 강남의 한 비만전문 한방병원에서 비만치료 전/ 후 사진을  비교하는데  CT영상을 근거로 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비만치료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간단한 CT 사진으로 복부지방이 축소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전문적 의학지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순한 CT 기계 조작법만 필요합니다. (전문의가 아닌 방사선사.. 등의 인력 지원이 있으면 가능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 CT 영상 광고에 대해  어떤  단체에서 강남구보건소에 '한방병원의 CT사용에 대한 고발'  사안을 접수하면서 한양방 이권싸움으로

번지게 됩니다. 급기야 내과의사협회를 중심으로 한방에 대한 견제 수단으로 전국의 모든 병의원에 한방 특히 한약에 대한 비난포스터를 제작하여

배포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 내용중 하나가 "한약을 복용하면 심장질환, 간신독성을 유발 할 수 있다" 는 것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언론을 통한 한약 및 한방에 비난은 가속되어왔고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면 과연 한약을 복용하면 '약인성 간독성( Drug -induced liver disease)' 을 야기하는가의 문제 입니다.

한약중 일부 독성을 가지고 있는 부자, 초오 와 일부 광물성 약재 일부는 과량 섭취시 약인성 간,신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 약재도 법제 과정을 거치면 약독성을 가진  엄연한 '약'이 되며, 일반 한의원에서 처방하고 있는 대부분의 한약재는 음식과 비슷하거나

약간 넘어서는 수준의 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한약재의 대표적인 인삼, 황기 등은 삼계탕이라는 식재료로 쓰여지며 전통적으로 임산부의 입덧, 유산방지, 및 임신중 감기 등의 질환 및

출산 후 모유촉진등의 약재도 한약으로 얼마든지 한의사의 처방에 의해  안전하게 복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젖을 먹는 아기가 감기기운이

있을 경우에는 엄마가 한약을 복용하고 수유를 시키는 것도 좋은 치료방법입니다.

 

그럼 암 환자에게는 어떨가요?

대부분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중인 암 환우분에게는 간독성의 문제는 중요 관심 사항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항암화학요법치료시 주치의로부터 듣는  주의사항중 하나는 한약과 민간요법등을 일체 금지하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대략 약인성 간신독성의 염려와 약물 상호간의 충돌에 의한 약효감소를 염려하는 것으로 이해 합니다.

 

그러나 만약 항암화학요법만을 시행할 경우 오히려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화학항암제 자체로 약인성 간신독성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지나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럴 경우, 그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한약이, 한방치료가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제가 주요 관심을 갖는 사례들, 즉 병원치료만으로 치료 효과가 높지 않은 3~4기 암의 경우 꾸준한 사례 관찰 결과,

화학항암제와 한약을 병용하였을 때 한약이 항암제와 더불어  "시너지 작용"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화학항암제에 대한 간신독성과 부작용을 완화" 할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 암한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확인가능합니다. 아래 첨부합니다. )

 

향후 이런 연구가 저 뿐만 아니라 좀더 다각도로 이루어져서 암 환우에게 보다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첨부파일 화학항암제와_옻나무_전탕추출물.hwp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치종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