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신,방광암

[스크랩] 방광암-기본정보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1. 6. 24.

방광암-기본정보

 

정의,원인, 빈도

 

방광암이란

방광암은 요로상피가 암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조직학적으로는 이행상피암이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방광암의 원인

방광암이 발생하고 진행하는 과정은 아직까지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습니다.방광암을 일으키는 몇 가지 요인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미 발암물질로 알려진 흡연과 산업화학물질입니다.

방광암의 50%정도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추산되며 염료, 고무, 가죽제품,섬유,유기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직업인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그 외에도 사카린등의 인공감미료, 아편중독,진통제 남용,만성 자극 및 염증등이 방광암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것은 보통 요로 상피에서 시작됩니다.모든 방광암의 90%이상은 이곳에서 기원하는데 새로 진단된 방광암으 대부분은 요로 상피와 고유층을 넘지 않고 방광근육층을 침범하지 않은 표재성 방광암입니다.

 

방광암의 빈도

우리나라 비뇨기계 암 중 가장 많으며 남자는 10만명당 7-8명, 여자는 1-2명의 빈도로 발생하여 여성보다 남성에서의 발생률이 높습니다. 어느 연령층에서도 생길 수 있으나 4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빈도도 증가합니다.

 

방광의 구조와 기능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몸 밖으로 배설되기 전에 방광에 저장되는데 방광은 속이 비어있는 대부분이 근육으로 이루어진 기관입니다.

소변은 신장으로부터 요관을 따라 방광으로 흘러 들어와서 저장되어 있다가 배뇨시 요도를 통해 배출됩니다. .솝변을 볼때 방광근육이 수축하여 소변을 밀어내는 작용을 합니다.

방광벽은 몇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안쪽은 소변과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요로 삽피라고 부르며 다음은 고유층이라 부르는 느슨한 결체 조직이 있습니다. 고유층 다음에 방광근육이 있고 방관근육이 바깥은 지방조직과 복막이라는 조직으로 덮여있습니다.

 

진행정도, 종류

 

방광암의 진행정도(병기)

방광암의 병기는 종양이 방광벽을 침범한 깊이에 기초하고 있습니다.TNM분류체계에 따른 병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방광암의 TNM병기]

T병기(종양의 병기):종양이 방광벽을 침투한 정도에 따라 분류

 

.....Tis:상피내암

.....Ta:점막에 국한된 유두종

.....T1:고유층에 국한

.....T2:근층에 침윤

.....T3:방광주위 지방조직에 침윤

.....T4:전립선,자궁,질, 골반벽이나 복강벽에 침윤

N병기:임파선 침윤여부에 따른 병기

.....N0:림프절 침윤이 없는 경우

.....N1-3:림프절 침윤

M병기:원격 전이 여부에 따른 병기

.....M0:타장기로의 원격전이가 없음

.....M1:원격 전이

 

Ta병기, Tis(요로상피에 국한)와 T1병기(점막하 고유층에 국한)는 근육층을 침범하지 않은 병기로서 표새성 방광암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Ta종양은 악성도가 낮고 방광근육을 침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T1종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층을 침범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Tis병기는 상피내암(CIS)으로 불리는 높은 악성도의 암인데 보통 방광경으로 보았을 때 방광벽을따라 편평하고 붉은 빛을 띤 부드러운 판 같이 보입니다.

T2이상은 침윤성 방광암으로 불리며 재발 및 전이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방광암의 종류

방광에 생기는 암의 90%이상은 이행세포암 이고 나머지 약 5%가 편평세포암, 약 2%가 선암입니다. 따라서 흔히 방광암이라 하면 대부분 이행세포암을 의미합니다.

방광벽은 점막 즉 요로 상피, 고유층 그리고 근육층과 같이 크게 세가지 층으로 되어있는데 이 중 점막과 고유층에만 암세포가 있으면 재성 방광암중 암세포가 점막내에 국한되어 있을 때를 상피내암이라고 합니다. 조직검사에서 방강암이 발견되었다면 조직을 검사했던 병리학자는 암세포의 모양이 정상세포와 얼마나 차이가 나느냐에 따라 악성의 등급을 나누는데 3단계(낮은,중간,높은)로 종양을 분류합니다.

낮은 악성도의 세포에 비하여 높은 악성도의 종양세포는 많은 세포가 비정형성을 나타내고 비전상적인 형태가 명백해 집니다. 이러한 악성도는 종양의 침습성(얼마나 빨리 자라는지, 퍼지는지)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높은 등급의 종양은 가장 침습적이며, 근육으로 침범하여 진행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출처 : 당신의 건강한 삶을 꿈꾸는.경희성신
글쓴이 : 경희성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