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위암

[스크랩] 현대인들의 고질병 위장질환, 위장질환 식이요법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1. 6. 8.

위장은?


섭취한 음식을 위액과 섞어 어느 정도 소화시킨 후 소장으로 보내는 일을 합니다.

위액 중에는 염산과 펩신같은 소화효소가 들어 있어 단백질의 소화를 도와 줍니다.

위장질환이 생기면 영양소의 섭취, 소화, 흡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위장병의 정도에 따라

알맞은 식사요법과 함께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식사에 대해 예민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정신적 안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급성 위염


과식이나 과음, 너무 강한 양념을 한 음식물의 섭취, 부패한 음식물의 섭취,

약물 또는 세균성 식중독 등으로부터 발생합니다.

식사는 1~2일간 금식하고 소량의 물만 마시도록 합니다.

우유, 과즙, 미음으로 식사를 시작하며 차츰 죽, 무른 음식을 먹다가

단계적으로 정상식사로 바꾸도록 합니다.


 만성 위염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위궤양이나 위암에 앞서 나타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증상은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복감, 약한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인데

증상이 아주 모호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드럽고 소화되기 쉬운 식품으로 장기간 조절해야 합니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이나 자극성 음식,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피해야 하며 알코올 음료도 금합니다.


 소화성 궤양(위,십이지장 궤양)


위를 보호하고 있는 점막이 위산이나 펩신에 의해 벗겨져 상처가 깊어지고 헐은 상태를 말합니다.

궤양의 식사요법은 위염의 식사요법과 같습니다.


 위장질환의 식사요법


1. 식사는 규칙적으로 알맞은 양을 먹도록 합니다.

2. 음식은 가급적 천천히, 편안한 마음으로 먹도록 합니다.

3. 통증이 심할 때는 위에 자극을 주지 않는 부드럽고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합니다.

4. 술, 탄산음료, 커피 및 카페인음료 등은 위산과 펩신의 분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섭취를 제한합니다.

5. 고추가루, 후추, 겨자 등 자극성이 있는 조미료는 상처 부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6. 거친음식, 딱딱한 음식, 말린 것, 튀긴 음식 등은 가급적 피하며 먹더라도 잘 씹어 먹도록 합니다.

7. 너무 기름이 많은 음식은 소화에 지장을 주므로 자제해야하나, 소량 사용은 제한하지 않습니다.

8.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은 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9. 밤늦게 먹는 식사나 간식은 위산 분비를 자극하므로 취침 2시간 전에는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합니다.

10. 흡연은 위 점막을 자극시키고 궤양을 악화시키므로 금연합니다.


 위하수


복부비만이 있거나 조이는 옷으로 상복부에 압력을 많이 받았을 때, 또는 수술이나 출산으로

복부근육이 처졌을 때 생기기가 쉽습니다.

1. 위부담을 줄이기 위해 규칙적으로 알맞은 양을 먹도록 합니다.

2. 천천히 식사하며, 과식이나 야식(밤참)을 피합니다.

3. 식사중의 과다한 수분 (물, 주스, 우유 등) 섭취는 자제합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글쓴이 : 헬로우닥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