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이란?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고,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합니다.
대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암 중 10.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암등록본부의 연례보고서에 의하면 2005년도에 17,000여명이 발생하였으며, 남자는 10,000여명, 여자는 7,000여명에게서 발생하였습니다. 30대 이후 전 연령에 걸쳐 빈번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암 사망원인 중 4위이며, 생존율이 약 60%로 폐암이나 간암보다는 치명률이 낮은 암입니다.
대장암의 주요 위험요인
대장암의 발생 고위험군 ➤ 가족력 : 부모ㆍ형제가 대장암인 경우 ➤ 염증성 장질환 : 좌측 대장에 국한 / 대장 전체에 병변 ➤ 유전성암 :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의 가족력 /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의 가족력 ➤ 용종(폴립) : 증식성 용종 / 선종성 용종 대장암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대장암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식생활, 비만, 가족력, 음주, 흡연 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붉은 고기 및 육가공품 섭취 붉은 육류 또는 가공육류 섭취가 대장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붉은 육류 섭취량
붉은 색 고기란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와 같이 붉고 어두운 색의 고기로 생선이나 닭 가슴살과 같은 흰색 고기와는 구별됩니다.
이 외에 동물성지방 섭취량 증가도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대장암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식이요인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고, 총 에너지에 대한 지방 섭취 비가 20% 미만인 경우 대장암을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비만
비만하면 대장암 발생 위험이 약 1.5~3.7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허리둘레 증가도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하지만 비만은 식이 섭취와 신체활동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관련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대장암 발생 고위험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크론씨병(Crohn’s disease)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질환이 있을 경우 대장암 발병위험은 4배에서 20배로 증가하고, 이로 인한 대장암은 일반 대장암보다 20~30년 일찍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장암의 발병위험을 높이는 가족내 유전질환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선종성 대장 폴립이라고도 불리는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입니다. 이 질환은 수개의 또는 수천개의 선종이 대장벽에 생기게 되어 성인이 되면 거의 100% 암으로 발전합니다. 둘째는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이며, 이 질환은 이른 나이에 발병하고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보다 흔합니다. 이들 두 질환이 있을 경우 직계 가족의 대장암 발생 위험이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가족력
대장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대장암 진단 시 연령이 45세 이전인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약 3.8배 증가하고, 대장암의 중증도에 따라 약 2.8배까지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음주
술을 많이 마신다고 해서 꼭 대장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비음주자에 비해 대장암 발생 위험이 다소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 흡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흡연자에서의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출처: 더욱 자세한 내용은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cancer.go.kr)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육류 속 성분 대장직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이유 검증 (0) | 2011.05.04 |
---|---|
[스크랩]대장암 재발 위험 알려주는 후성유전인자가 발견 (0) | 2011.05.02 |
앉아 일하는 직업 서서 일하는 직업보다 대장암 위험 2배 (0) | 2011.04.28 |
대장이나 직장암환자 분들이 경험할 수도 있는 장루(인공항문)에 대해 (0) | 2011.04.25 |
(스크랩)가족 중 위암있으면 대장 암·선종 발병률↑ (0) | 201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