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환자 중 치료가 가능한 국소전립선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비뇨기과와 비뇨기종양학회가 서울 지역 단일 기관에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전립선암 환자 1672명를 분석한 결과 국소전립선암의 비율이 1997∼2000년 57.6%에서 2007∼2009년 79%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완치가 어려운 원격전이암의 비율은 39.2%에서 7.9%로 크게 감소했다.
전립선 조기발견에 사용되는 전립선특이항원(PSA) 중앙 값도 34.5ng/㎖에서 8.0ng/㎖로 감소해 국소전립선암의 진단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PSA 정상치는 3∼4ng/㎖ 이하다.
하지만 국소전립선암의 발견율이 높아진다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악성도가 낮은 고분화도암의 진단율이 높아지고 악성도가 높은 저분화도암의 진단율이 감소 추세지만 저분화도 암이 전체 환자 중 36.3%로 미국의 5.7∼11%와 비교해 높기 때문이다.
1997∼2000년에 비해 전립선암 환자의 PSA 수치가 감소하고 있으며, 낮은 병기인 국소전립선암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저분화도암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광범위한 PSA 검사와 같은 조기 검진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립선암은 평균 수명의 연장과 비례해 지속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2009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암 발생률 조사에 따르면 1999년 전립선암 신규 환자 수가 1437명에서 2007년 5292명으로 지난 8년간 3.7배 증가했다. 또 2008년 발표된 ‘주요 암 5년 생존율 국제비교’를 보면 전립선암의 생존율(76.9%)은 미국(98.9%)에 비해 낮다.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경우에는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진단 시기가 늦어지면 주변 장기, 림프절 및 뼈로 쉽게 전이돼 완치가 불가능하다.
특히 조기진단에 대한 효과는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학회가 지난 2007년 무료검진을 했던 강릉, 대구, 전주 지역 3616명을 대상으로 2차 역학조사를 시행한 결과, 2007년과 2010년 모두 PSA 검진에 참여한 재검진군이 올해 첫 검진을 받은 신규 검진군보다 전립선암 발견율이 2.4배 낮았다. 올해 재검진자는 1252명으로 전체 참여 환자의 34.6%였다. 이들의 평균 PSA 값은 1.89ng/㎖로 신규 검진군의 2.14ng/㎖보다 낮았다.
'종류별 암 > 남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립선암 지도 만들기, 올해 2차 역학 조사 시작 (0) | 2010.08.30 |
---|---|
[스크랩]아스피린 복용, 전립선암 낮추는데 효과 (0) | 2010.08.28 |
“전립샘암 이겨냈는데 고혈압에 쓰러질 줄은…” (0) | 2010.08.19 |
50대 이상 남성 누구나 전립선 암 체크해야 (0) | 2010.08.13 |
3가지만 지키면 전립선암 예방할 수 있다 (0) | 201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