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양은 아니지만 중국이나 몽골, 중앙아시아에서도 차가버섯이 발견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에서 나온 차가버섯은 영양분이 거의 없습니다.
생물이 영양분을 자기 몸에 저장하는 이유는 미래에 다가올 혹독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
함입니다.
위의 지역에서 자라나는 차가버섯의 경우 영양분을 자기 몸에 저장할 이유를 가지지 못
하며 그 성장속도
또한 매우 빠릅니다. 러시아에서는 몽골 북서쪽에 위치한 알타이 지역에서도 차가버섯
을 채취하지 않습니
다.
우리나라에도 자작나무가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백두산자작나무를 검색하면 다음의 내용이 나옵니다.
"한국 특산종으로 양강도(량강도) 대홍단지구, 두만강 유역의 고원지대에서 자라며 시
베리아와 몽골 지역
에도 퍼져 있다. 높이 2∼5m로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며
밑부분이 둔한 것
이 다르다."
차가버섯이 자라나는 자작나무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20m이상입니다.
백두산자작나무와 같이 키가 작고 산지에서 자라나는 자작나무에서는 차가버섯이 거의
자라지 않습니다.
설사 자라난다고 하더라도 상업화하기에는 매우 적은 양입니다.
또한 시중에서 유통되는 그 품질 또한 전문가의 눈으로 보기엔 안쓰럽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현재 시중에서 북한산으로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차가버섯은 중앙
아시아산, 중국산,
러시아산, 몽골산 차가버섯이 중국을 통해 북한 회사의 명의를 빌리거나 북한의 항구를
거쳐 수입되는 것
입니다.
이러한 유통 경로에 대해서는 차가버섯 뿐만 아니라 농산물 수입을 조금이라도 해 본 분
이시라면 모두 알
고 있는 상식에 속합니다. 업체 입장에서 이러한 소위 “북한산 차가버섯”을 취급하는 이
유는 국내 소비자
의 신토불이 심리를 이용한 판매 증진의 목적 및 북한산일 경우 수입관세(30%)를 면제
받는 혜택이 주어지
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더 문제인 것은 이와 같이 긴 유통경로를 거쳐 한국으로 들여온 차가버섯은 이미
산화가 충분히 진
행되어 전혀 영양분이 없는 이름만 차가버섯이 대부분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차가버섯 만큼은 신토불이(身土不二)가 통하지 않습니다.
국내에서도 극히 작은 양이지만 차가버섯이 발견됩니다. 자작나무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고 자작
나무와 종(種)이 비슷한 나무에서 아주 간혹 발견됩니다.
필자가 실물과 사진으로 여러 번 국내산 차가버섯 감별을 해 준적이 있습니다. 많
은 경우 차가버섯이
아닌 나무의 상처에서 발견되는 옹이였고 몇 번 차가버섯을 보았습니다.
차가버섯의 상태는 껍질이 대부분 이였고 실제 필요한 속살 부분은 거의 없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아주 어린 차가버섯 이었습니다. 국내의 자작나무나 유사한 종류의 나무는 산에서 자라는 강인한 종류여서 차가가 착생하여 어느 정도 자라다가도 나무와의 생존 투쟁에서 나무가 이기고 차가는 나무에 흡수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차가가 발견되어도 대부분 어린 차가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러시아에서는 이렇게 나무에 흡수 되어버린 차가를 키쉬키라고 합니다. 차가는 껍질과 나무에 붙어서 수액을 섭취하던 부분을 제외한 속살 부분의 두께가 10 cm를 넘어야 효능이 최소한이라도 있습니다. 이 정도가 되려면 차가가 나무 밖으로 나와서 5년 정도는 성장을 해야 합니다. 물론 러시아 시베리아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경우 입니다.(러시아 약전 11-2-63 차가)
중국에서도 차가버섯이 발견되고 우즈베키스탄의 북서부에서도 차가버섯이 발견됩니다. 황소 머리만한 차가부터 손바닥만한 차가들이 양물푸레 나무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효능은 0% 입니다. 차가버섯의 성분 측정도인 크로모겐 콤플렉스(chromogen complex)가 검출되지 않습니다.
어린 차가버섯에서도 크로모겐 콤플렉스가 검출되지 않습니다. 국내에서 발견되는 차가는 너무 어린 새끼여서 효능이 거의 없습니다.
한국보다 훨씬 북쪽의 아주 추운 청정지역에서 오랫동안 자란 러시아 차가버섯의 효능이 한국에서 아주 간혹 발견되는 차가버섯보다 비교도 할 수 없이 좋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 관련 글 > 차가버섯 잘못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가버섯의 인공 재배 (0) | 2010.04.12 |
---|---|
아토피에 차가버섯을 먹고 증세가 더 심해졌어요... (0) | 2010.03.27 |
차가버섯 껍질 복용 (0) | 2010.02.28 |
차가버섯의 경우 다시 추출하여 드시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0) | 2010.02.16 |
개마고원의 차가버섯 (0) | 2010.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