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발 절단 막는 법
당뇨발은 당뇨 환자의 15% 가량에게 생기는 당뇨합병증으로, 발에 생긴 작은 상처가 족부궤양 등으로 악화돼 발이 썩는 것인데요.
심한 경우 발을 절단하는 경우가 많아 요새 같이 추울 때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왕지웅 기자의 보돕니다.
(서울=연합뉴스) 왕지웅 기자 = 당뇨 환자의 15%가 합병증으로 앓고 있는 당뇨발.
혈액순환장애와 혈관 속 높은 당 수치가 신경세포를 죽여 감각을 무뎌지게 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처음엔 발에 감각 이상 정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점차 감각이 마비돼 상처가 생겨도 몰라 방치하게 되고, 염증으로 발전해 절단할 수밖에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심장과 가장 멀리 있는 발은 혈액순환이 안 좋을 수밖에 없어 상처가 생기기도 쉽고 자연치유도 어렵기 때문에 작은 상처도 가볍게 넘기지 말라고 전문의들은 조언합니다.
(인터뷰) 한승규 교수 (고려대 구로병원 성형외과)
"새 신발을 신을 때 어딘가 마찰이 있으면 통증을 느껴야 하는데 신경기능이 떨어져서 그런 것을 못 느낀다. 또 당뇨 자체로 인해 상처가 생기면 피부조직이 재생돼야 하는데 그런 기능도 떨어진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반 상처와는 달리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원인을 찾아서 맞춤형 치료를 해야 완전히 나을 수 있다."
당뇨발이 무서운 것은 당뇨환자들이 감각을 잘 못 느끼기 때문에 치료 시작이 너무 늦다는 점입니다.
매년 10만 명에 달하는 환자가 당뇨발로 다리를 절단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당뇨발 치료를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해 절단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당뇨발 치료는 내과 치료보다도 상처 치료(창상)를 전공한 성형외과 치료가 우선돼야 하는데 많은 환자들이 내과 치료만 받다 절단에 이른다는 겁니다.
(인터뷰) 한승규 교수 (고려대 구로병원 성형외과)
"실제 우리가 치료했던 환자들을 보면 다른 1차병원에서 잘 치료가 안 되니까 다리를 절단하는 일정을 잡아놨던 환자도 실제로 잘 검사해 보면 절단 없이 치료가 가능한 환자가 많았다. 계속 상처를 열어두면 결국은 세균이 들어가서 패혈증과 같은 더 큰 합병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절단이라도 해서 아물도록 하려는 경우이지만 실제로 잘 검사해 보면 치료가 가능한 부분이 많으므로 결코 포기해선 안된다."
발이 너무 차거나 저린 느낌이 있거나 굳은살이 많이 박여 있다면 좀 더 발 건강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혈액순환이 안 좋거나 신발 등에 의한 압력을 받고 있는 것일 수 있어서입니다.
전문의들은 당뇨발은 어르신들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자각하기는 쉽지 않으니 부모님의 발을 유심히 살펴보라고 강조합니다.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수·기장밥, 당뇨엔 보약 (0) | 2010.03.19 |
---|---|
[스크랩]마르고 당뇨병있으면 유방암 위험 높아져 (0) | 2010.01.25 |
"당뇨병-췌장암 연관성 크다" (0) | 2009.12.29 |
[스크랩]“당뇨·아토피 쌀밥 먹고 치료하세요” (0) | 2009.12.21 |
차가버섯 - 당뇨 치료 (0) | 200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