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8% "연명치료 원치 않아"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은 말기환자에게 하는 연명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서울대 이윤성 교수팀에 의뢰해 일반 국민 1천여명을 대상으로 연명치료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자신이 말기환자로 연명치료를 받는 경우 중단을 요청하겠다는 답변이 78.1%로 나타났다.
연명치료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하는 진료를 뜻하는 말로 인공호흡기나 심폐소생술, 영양공급튜브뿐 아니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약물투여도 포함한다.
이번 조사에서 일반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은 연명치료의 중단을 요청하겠다고 밝혔으며 특히 인공호흡기의 경우 93%가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드러냈다.
또 ´튜브관 제거´나 ´심장마사지 등´의 중단을 원한다는 답도 각각 87.4%와 84.8%를 차지했으며 심지어 약물처방에 대해서도 55.1%는 중단을 원한다고 밝혀 우리 국민 대다수가 말기환자에 대한 각종 연명치료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연명치료의 중단 근거를 마련하는 법제화에 대해서도 치료 종류별로 57~89%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78.3%가 연명치료 중단 요건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이를 위해 치료를 시작하기 전 미리 연명치료 중단을 지시하는 ´사전지시서´ 작성을 법에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84.5%나 됐다.
그러나 이날 토론회에서는 연명치료 중단을 허용할 경우 치료비.간병비 부담 때문에 치료중단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책임연구원은 "사회경제적 부담이 말기상황에서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인 이유로 환자의 자율성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윤 연구원은 이와 관련 말기환자의 경우 경제적 부담이 없는 때에는 2/3가 본인이 치료중단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경제적 부담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본인이 결정할 수 있다는 답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는 연구결과를 그 근거로 들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암에 걸렸을 때 대처법 5가지 (0) | 2009.11.30 |
---|---|
암보험 100% 활용하는 방법 (0) | 2009.11.28 |
( 스크랩) 癌환자 회복단계별 식생활 가이드 (0) | 2009.11.26 |
[스크랩]여성 암 걸리면 이혼당할 확률 남성보다 7배 (0) | 2009.11.25 |
국민 12% 암검진 결과 이해 못해 (0) | 200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