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암에 대해
간 세포암에 대해서는 이전은 수술에 의한 절제가 제 1선택이었지만, TAE(간 동맥쇄전술)이 보급해 오고 나서는 이 치료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간경변에 합병한 간 세포암에 대해서는 TAE는 수술과 같은 정도의 효과가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암이 완전하게 없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없어지지 않는다해도, 암의 발육을 억제하는 것은 높은 확률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간 경변의 치료입니다. 한번 간 경변에 빠진 간장은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은 없습니다. 즉, 진행하는 것은 있어도 좋아지는 것은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간 경변이 진행하면 식도 정맥류를 만들거나, 간불안이 되거나 해서, 역시 생명에 있어서 위험한 상태로 됩니다.
간 세포암으로 발작적으로 쓰러질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하지만, 식도 정맥류의 파열이나 간불안에 의한 간성 뇌증은 급속하게 몸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연이 음주보다 간암 위험 더 커 (0) | 2009.11.28 |
---|---|
(스크랩)만성 간염, 단백질 변이로 간암 악화 (0) | 2009.11.27 |
[스크랩]술로 인한 간암 발생 10% (0) | 2009.11.25 |
[스크랩]알콜성 지방간 예방법 (0) | 2009.11.24 |
[스크랩]우리나라는 간염 왕국 ‘오명’ (0) | 2009.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