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봉침요법(蜂針療法)이란 꿀벌의 침(針)으로 인체의 경혈(經穴)을 자극하고 침액(針液)을 인체내에 주입하여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것 을 말한다. 봉침은 침으로 경혈을 자극하고 온열(溫熱) 작용을 일으 키는 물리적인 작용과 봉독(蜂毒)으로 불리는 봉침액(蜂針液)이 각 종 약리작용을일으키는 화학적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 |
< 벌침(100배확대) > |
봉침으로부터 주입되는 봉독은 극히 적은 미량에 불과하지만 아미노산계의 펩타이드, 히알로 니다제 등의 성분이 빠른 속도로 피하조직은 물론 인체의 심부까지 침투한다. 그 자극과 봉독의 작용으로 인하여 지각신경을 흥분시켜서 기(氣)와 혈(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을 정화 시켜 노화(老化)를 예방하며 산소호흡을 왕성하게 하여 유산(乳酸)의 분해작용과 배출을 촉진 시킨다.
< 벌침(600배확대) >
|
봉침요법은 한국, 일본, 중국 등이 주축이 된 동양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은 봉침요법을 중심으로 한 봉료(蜂療)가 중의학 (中醫學)의 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고, 봉료전문 치료기 관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에서는 아직은 민간요법의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
|
|
|
가. 물리적 작용
봉침을 인체에 자침(刺針)함으로써 마비된 신경을 일깨워주어 신경 및 각 세포에 활력을 주는 자극작용과 봉침시술 후 자침 부위가 후끈거리며 발열이 시작되어 뜸과 같은 온열작용을 한다.
나. 화학적 작용
(1) 살균작용(殺菌作用)
봉침액이 침투하는 곳에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는 봉침액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성분의 작용의 의해 바로 죽는다. 러시아의 연구에 의하면 봉독의 항생물질은 5만배 액으로 희석한 속에서도 살균력이 있다. 이러한 살균작용을 통해 다래끼, 치주염, 편도선염, 유종, 헬페스성 신경염, 바이러스성 종양 등 각종 화농성 질환을 치료한다.
(2) 진통작용(鎭痛作用)
봉독 속의 아파민의 작용에 의해 진통작용을 한다. 특히 각종 신경통,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헬페스성 신경통, 통풍, 근육통 등에 진통작용이 강하고 치료효과도 높다. |
|
(3) 용혈작용(溶血作用)
봉침의 작용 중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 중의 하나가 용혈작용이다. 멜리틴, 포스포리파제 등의 작용에 의해 타박상, 내출혈, 염좌(삔곳) 등의 치료 및 용혈작용이 뛰어나다.
(4) 혈관확장작용(血管擴張作用)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으로 모세혈관, 소동맥, 소정맥, 내장혈관을 확장시키는데 효과가 크다. 따라서 냉증, 동상, 근육통 등의 질환을 치료한다.
(5)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에 의해 혈압을 내리는 강력한 작용을 한다. 특히 2억5천만분의 1의 농도에서도 혈압강하작용이 있다고 하는 연구발표도 있을 정도이다. 본태성 고혈압 등의 치료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 봉침용 소상(巢箱) > |
(6) 자율신경조절작용(自律神經調節作用)
인체가 스트레스를 계속 받게되면 교감신경(交感神經)과 부교 감신경(副交感神經)의 양 자율신경(自律神經)에 난조와 와서 이것이 많은 병의 원인이 된다. 이 자율신경을 정상화하는데 필요한 물질인 카테콜 아민과 아세틸 코린이 봉독에 함유되어 있으며 이 양물질은 뇌세포 전달물질로서 심신증, 갱년기 장애, 스트레스성 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다. |
(7) 그외 작용
- 신경회복작용(神經回復回復作用), 세포재생작용(細胞再生作用), 근육수축작용(筋肉收縮作用), 이상세포방지(異常細胞防止) 및 소멸작용(消滅作用) - 부신(副腎) 아드레날린 분비촉진작용(分泌促進作用) - 국소충혈작용(局所充血作用) 및 액환류(液環流)의 개선 |
|
화농(化膿)성(性)질환(疾患)
- 만성관절류마티스
- 대상포진(帶狀疱疹)
- 염좌(捻挫)
- 허리 삔 데 또는 요통(腰痛)
- 타박상(打撲傷)
- 고혈압(高血壓)
- 견비통(肩臂痛)
- 신경계질환(神經系疾患)
- 당뇨병(糖尿病)
- 천식(喘息) 및
기관지질환(氣管支疾患)
- 근육통(筋肉痛)
- 이비인후질환(耳鼻咽喉疾患)
봉침은 환부(患部)에 직접 자침(刺針)하 는 것이 치료의 기본이므로 초심자 누구 나 쉽게 시술할수 있다. 봉침시술에 어느 정도 숙련이 되어 경락(經絡) 및 경혈(經 穴)을 이용하여 치료하면 고혈압, 요통, 디스크, 신경통, 또는 내장질환 등의 만성 질환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
|
|
|
|
1) 발침법(拔針法)과 시술종류(施術種類)
봉침용 소상(巢箱) 안에 있는 꿀벌을 핀셋을 사용하여 한 마리씩 끄집어내어 벌의 등쪽을 엄지와 인지로 가볍게 잡 아 핀셋으로 벌침 끝을 잡아 뺀다. 이때 복부 (腹部)를 강 하게 누르면 내장이 튀어나오고 다리부분을 잡으면 잡 은 손가락 을 쏘이게 된다.
|
< 발침: 벌의꼬리부눈에 나와있는 봉침을 핀셋으로 잡아 뺀다. >
|
(1) 직자(直刺)
벌을 산 채로 직접 환부 또는 치료점에 쏘이게 하는 것을 말하며 봉침요법 중에서 가장 강하게 치료하는 시술 방법이다.
(2) 발침자(拔針刺)
벌들의 몸에서 핀셋으로 침을 뽑아 시술하는 방법으로 단자(單刺)와 산자(散刺)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가) 단자시술법(單刺施術法)
벌침을 뽑아서 한 곳에 하나씩 자침(刺針)하거나, 시술하고자 하는 곳에 살짝 찌른 다음 침을 다시 뽑아서 다른 부위에 시술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여러 곳을 치료할 수 있으며 봉침요법 중에서 두 번째로 강하게 치료하는 시술방법이다. 단자시술법은 벌침을 핀셋 으로 뽑아서 시술하고자하는 곳에 꽂은 다음 핀셋을 놓고 일정한 시간(1∼3초)이 경과한 후 다시 핀셋으로 침을 뽑아, 다시 다른 곳에 시술하는 방법을 말한다. 봉침시술이 숙련되면 벌침 하나로 최고 20∼30곳을 시술할 수 있다.
(나) 산자시술법(散刺施術法)
벌침을 뽑아서 벌침 하나로 여러 곳에 산침(散針)하는 방법을 말한다.
안면을 치료할 때나 대상포진(帶狀疱疹) 치료와 같이 아주 약하게, 그리고 넓은 곳을 치료할 때 사용하며 봉침요법 중에서 가장 약한 치료법이다.
6. 봉침요법의 치료점(治療点)
1) 아픈 부위에 직접 자침(刺針)한다.
2) 신경계통에 따라 자침한다.
3) 경락(經絡)에 따른 경혈(經穴)에 자침(刺針)한다.
봉침요법의 기본적인 자침점은 원칙적으로 환부주의(患部主義)이다. 화농(化膿)한 곳, 또는 염증(炎症)을 일으키고 있는 환부에 직접 벌침을 놓는다. 구미(歐美)는 물론 동양에서도 옛날 부터 환부(患部) 자침(刺針)의 방법으로 봉침치료를 해서 많은 효력을 보고 있다.
이런 점에서는 침구이론(鍼灸理論)과는 상반(相反)된다. 즉 침구에서는 반사(反射) 유도(誘導) 를 원칙으로 하여 환부(患部)에서 떨어진 혈(穴)에 대한 자극에 의해서 영향을 미치게 하는 치료법이 상도(常道)이다. 침(針)으로 환부, 즉 아시혈(阿是穴) 치료를 하는 것은 오히려 염증 (炎症)을 조장하거나 과잉(過剩)에 의한 역효과를 초래하기 쉽다.
이와 반대로 봉침요법이 환부주의로서 효과가 있는 것은 봉독(蜂毒)의 성분에 의한 화학작용 (化學作用)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봉침요법에서 중점적인 자침점은 환부면 중에서 다음의 곳이다.
압통점(壓通点) - 손가락으로 눌러보고 통감(痛感)이 있는 곳 경결점(硬結点) - 피하(皮下)에 단단한 느낌이 느껴지는 곳 함하점(陷下点) - 피하(皮下)에 탄력(彈力)이 없고 우묵하게 꺼진 곳 냉감점(冷感点) - 차게 느껴지는 곳
또한 환부의 범위가 넓으면 그 환부 전체를 자침하는 것이 아니라 혈(穴)에 대한 지식(知識)에 의해서 중점적인 치료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최소한의 자침량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혈(穴)을 사용하게 된다. 이것은 봉침요법에 있어서의 독자적인 자극과 봉독의 적정량 (適正量)과 연관해서 가장 어려운 기술면의 연구과제이기도 하다.
다음은 표피(表皮)에 환부가 없는 내장질환(內臟疾患) 등에는 경혈(經穴)을 이용한 치료점 (治療点) 선정이 치료의 요결이다. 또한 환부에서 떨어져 있는 혈(穴)은 역작용이 적으므로 자침을 가볍게 해서 전체의 효과를 올리도록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