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Ficus religiosa
영명 : Sacred fig, bo-tree, peepul
힌디 : Pipal
산스크리트: Pippala, ashwattha
우리가 보리수라고 부르는 나무에는 세 종류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전혀 다른 나무이다.
먼저, 뽕나무과(Moraceae)의 상록수인 인도보리수(Ficus religiosa)로서 핍팔라(pippala)나무인데 부처가 그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은 이후 ‘보리수’로 이름이 바뀌었다. 산스크리트어로 ‘보디 드루마(Bodhi druma)’, 또는 보디 브리크사(Bodhi vriksa)라 하는데 ‘브리크사’를 음역한 것이 ‘보리수’이다. ‘깨달음을 준 나무’라 해서 각수(覺樹), 도량수(道場樹)라고도 불린다.
두번째는 도금양목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보리수(Elaeagnus unbellatus)가 있는데 덩굴성 식물로서 동아시아, 남부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며 빨간색 열매가 열린다.
세번째는 무궁화목 피나무과(Ti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서양보리수(Tilia europaea)로서 ‘성문앞 우물가에 서있는 보리수’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 중 제 5곡인 ‘린덴바움(Lindenbaum, linden tree)’이 바로 이 나무이다. 낙엽교목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특히 절에 많이 심는데, 인도보리수가 열대성이어서 잘 자라지 않으므로 잎 모양이 비슷한 서양보리수를 대용으로 채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보리수는 인도, 스리랑카 원산으로 수피는 연한 회색이며, 잎은 크고 가죽처럼 매끈하며 난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긴 잎자루가 달려있다. 작은 열매는 익으면 자색을 띤다. 힌두교와 불교에서 성스럽게 여기는 나무로서 특히 사원 경내에 많이 심으며, 가로수나 정원수로도 심는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보리수로 알려진 것은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에 있는 것으로서 BC 300년 경 인도 아쇼카왕의 딸 상가미타가 인도 붓다가야의 보리수 가지를 가져와 심은 것으로 수령 2300년 가량 되었다고 한다. 아누라다푸라는 기원전 500년에 세워진 도시로서 전성기 때 이곳으로부터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등지로 불교가 전파되었으며 많은 불교 사적이 남아있다. 현재 인도 붓다가야 대보리사에 있는 나무는 부처님 당시의 그 나무는 아니며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의 보리수 묘목을 가져다 심은 것이니 부처님 당시 나무의 손자 뻘 되는 셈이다. 부처의 입적 이후 500여년간 부처 형상을 만드는 것을 금하였으므로 1세기경 불상이 탄생되기 전까지 보리수는 법륜, 불족적 등과 함께 부처님을 나타내는 상징물이었으며, 오늘날에도 부처 혹은 깨달음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불교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보리수나무의 수피, 잎, 열매, 씨, 뿌리, 고무수액등 여러 부위는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수피는 설사와 이질, 당뇨, 비뇨기 질환에 이용하며, 잎은 버터와 섞어 종기나 유행성 이하선염에 붙이며, 열매는 가루를 내어 천식에 이용하고, 고무 수액은 사마귀를 떼는데 쓴다. 전통적으로 수피를 꿀과 섞어 끓인 즙은 임질치료에 사용해왔으며, 말린 수피를 넣어 끓인 우유는 최음제로 알려져 있다. 뿌리껍질에서 얻어진 오일은 여드름, 나병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류마티즘에 사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수피에 라노스테롤(lanoster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masterol), 베르갑텐(bergapten), 비타민 K1 등이 들어 있으며, 잎에는 다량의 탄수화합물, 아미노산,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열매에서는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과 같은 아미노산이 추출된다.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몬그래스 (lemongrass) (0) | 2009.02.13 |
---|---|
타마린드(Tamarind) (0) | 2009.02.12 |
(스크랩)우리나라에서 제주도가 암 발생률이 낮은 이유는?.. (0) | 2009.02.05 |
[스크랩]조릿대 (0) | 2009.02.03 |
페퍼민트(peppermint) 와 스피어민트(spearmint)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