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관절염, 오십견

[스크랩] [자료] 무 지 외 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1. 20.

발에 나타나는 병으로 가장 흔한 것이 외반모지다.

 

앞 끝이 뾰족한 구두를 무리하게 신고 다니면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굽게 된다.

 

그것은 발가락만 굽는 것이 아니다.

 

그 밑의 중족골은 반대로 안쪽을 향하고, 발가락 전체는 [<]

 

모양으로 휘어져 흉한 모양으로 변형된다.

 

심할 때는 둘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 위에 올라가 있거나

 

엄지발톱이 안쪽으로 틀어질 수도 있다.

 

오랫동안 그런 상태가 지속되면 완전히 탈구는 몹시 아프지만,

 

외반모지의 경우는 서서히 증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는 전혀 아픔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원인은 거의가 구두, 그것도 굽이 높은 하이힐이다.

 

때문에 환자의 대다수는 여성인데, 간혹 남성도 있다.

 

증상은 의외로 초, 중, 고생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 원인은 덧신을 신기 때문이다.


외반모지는 티눈, 못, 함입조, 무좀

 

다른 병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외반모지가 되기 쉬운 발가락의 모양은 따로 있다.

 

발가락 모양은 크게 나눠 다섯 개의 발가락이 거의

 

같은 길이의 정방형, 엄지발가락이 가장 길고

 

새끼발가락을 향해서 차례로 짧아지는 이집트형,

 

둘째 발가락이 가장 긴 그리스형의 세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이집트형 발가락 모양의

 

사람이 외반모지가 되기 쉽다고 한다.


유전이나 신발의 영향 이외에 외반모지가

 

돌 확률이 높은 사람은 편평족, 개장족, 내전근

 

(엄지발가락 안쪽에 있고, 엄지를 안쪽을 끌어당기고

 

있는 근육)이 매우 약해져 있는 사람이나

 

류머티스, 당뇨병, 통풍, 말초신경 장애가 있는 사람 등이다.


외반모지를 예방하기 위한 첫 번째 수칙은 가능하다면

 

직장에서의 휴식 시간에 맨발이 될 것.

 

신발을 벗고 있는 것만으로도 발에 대한

 

부담은 상당히 가벼워 진다.


중증의 경우수술을 해서 뼈를 정상적인

 

모양으로 되돌려야 한다.


새 구두를 샀더니 견딜 수 없을 만큼 발이 아팠다.

 

집에 돌아가서 발을 보았더니 외반모지가 되어 가고 있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맞춤식[이젠피트] 오소틱

 

사용하여 초기에 잡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