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가 전이되는 과정에서 면역계가 어떻게 교란되는지를 국내 연구진과 재미 연구자가 공동으로 밝혀내, 국제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연구 성과를 게재했다.
이 연구 성과에 따라 앞으로 암의 재발 또는 전이를 막는 치료법 개발도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건국대 생명과학부 김영준 교수와 미국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UCSD) 마이클 카린 교수, 김선화 박사 팀은 폐암 세포가 전이될 때 체내 면역계의 신호를 가로채 면역계 신호가 암세포의 전이를 돕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 이를 국제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1일 게재했다.
지금까지 암 발생과 증폭 과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됐으나 암 전이 과정은 매우 복잡한 단계들이 결합돼 있어 자세한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암세포가 만들어낸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들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면역성 세포들이 암세포의 전이와 성장을 유도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 성숙한 폐암 세포는 ‘베르시칸(versican)’이라는 단백질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인 대식세포와 염증 관련 신호전달물질인 ‘톨 유사 수용체 2(TLR2)’ 등을 활성화해 골수에서 종양괴사인자-α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또 골수성 세포에서 생성되는 TNF-α는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과정에 관여하며 그 과정이 TLR2의 신호전달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폐암 세포 등에서 생성된 베르시칸이라는 단백질이 TLR2를 활성화해 TNF-α 등 염증 관련 물질을 만들어 폐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을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암세포가 분비하는 골수성 세포 활성 인자인 베르시칸을 처음으로 분리, 정제해 확인했다. 또한 TNF-α와 TLR2 등의 유전자 기능을 인위적으로 없앤 쥐 실험을 통해 관련 신호 전달 과정을 확인했다.
건국대 김영준 교수는 “이 연구는 암 전이과정이 TLR2의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된다는 사실과 베르시칸이 중요한 매개 인자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베르시칸과 TLR2의 상호 작용을 통해 종양괴사인자 TNF-α의 생성을 증진하여 암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연구 성과는 앞으로 폐암 등 암 환자에서 수술 뒤 재발 또는 전이를 최소화시키는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신세포암(신장암)의 세포형태 (0) | 2009.01.06 |
---|---|
[스크랩] 기관지암의 종류 (0) | 2009.01.06 |
[스크랩]'여성의 적' 갑상샘암 정기검진 필수 (0) | 2009.01.04 |
[자료] 비개복 위암수술 어디까지 왔나…내시경 vs 복강경 (0) | 2009.01.04 |
조사 부위별 부작용 (0) | 200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