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AHCC 항종양, Adaptogen 효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8. 24.

AHCC 항종양, Adaptogen 효과

AHCC를 한마디로 하자면 '버섯유래의 기능성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고도의 바이오 기술에 의해 배양된 여러 종류의 버섯 균사체에서 추출한 물질로 1981년 일본 홋카이도에 본사를 둔 일본 아미노업화학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AHCC'라는 이름은 A=Active(활성화된) H=Hemi(헤미) C=Cellulose(셀룰로스) C=Compound(화합물)이라는 단어의 두 문자를 딴 '활성헤미셀룰로스화합물'이라는 의미이다.

균사체추출물질인 AHCC는 처음부터 항종양 활성에 높은 기대가 모아졌다. 그 이유는 개발 당시 이미 기와버섯이라는 버섯의 배양균사체로부터 얻은 '크레스틴'이 항암제로서 의약품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었고(1977년), 표고버섯의 자실체에서 얻은 '렌티난', 치마버섯의 액내배양생산물에서 얻은 '시조필란'이 모두 항암제로서 의약품 허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 속에 탄생한 AHCC가 확실하게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미국의 면역학자이자 임상의이기도 한 만도 고남박사에 의해서이다. 고남박사는 말기암환자 13명에게 AHCC를 투여하여 전원이 치유 내지는 증상이 경쾌해졌다는 3년간의 임상시험을 1993년 10월 발표함에 따라 의사 및 연구자들에게 놀라움을 안겨 줬다. 이후 각국의 의료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버섯류의 항종양활성 대부분은 함유된 다당류 즉, β-D-Glucan에서 유래되고 있으며, 그 분자구조의 미세한 차이 또는 거기에서 일정 단백질이 화합되어 있는가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AHCC가 나타내는 강한 항종양 활성도 활성헤미셀룰로스나 β(1-3)-D-Glucan이라는 다당류와 단리할 수 없는 생체기능조절물질이 상승적으로 효능을 발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AHCC는 이같은 항암성에 그치지 않고, B형 및 C형 바이러스성 만성간염, 당뇨병, 만성관절류마티즘, 자율신경실조증 등 치료가 어려운 질환에 이용되어 유효성을 보였다는 보고가 많다.

난치성 질환이 개선되었을 때 그 이유가 분명히 해명되지는 않지만 건강회복에 기여하는 물질 즉, 생체의 유해한 환경조건에 대하여 저항력을 증대시킴으로서 비특이적으로 방어능력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학적으로 '아답토겐(ADAPTOGEN : 적응소 혹은 순응성)'이라고 하는데, AHCC야말로 그 이름에 걸 맞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입력 2006.08.25 04:07 PM

기능식품신문에서 옮겨옴.

 

대체의학적 암치료 요법

 

면역증강요법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최근 일본에서 열린 AHCC국제연구심포지움에서 암환자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 주목을 받고있는 AHCC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된 면역증강제이다. 이번 연구보고에서는 여러 가지 연구사례들이 발표되었는데 그중 암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들을 아래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① 피부의 맥관육종(Angiosarcoma)에 대한 AHCC의 효능

(Kitasato 의과 대학, 피부 과학과 Mikio Masuzawa외 2명)

: 혈관육종(HAS)과 림프관육종(LAS)을 포함한, 피부의 맥관육종은 보통 1~2년의 예후밖에 보이지 않는 매우 심각한 악성종양이다. HAS에 대한 면역요법으로도 도입된 IL-2/LAK는 현재 일본에서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등 주요 치료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반면 이 연구에서 맥관육종은 mouse 모델에서 시로운 치료에 대한 역구를 시행했는데 멱관육종 세포가 LAK세포보다 NK 세포에 더 민감한 것과, 더욱이 NK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사이토카인으로서, IL-12의 국소적 주입은 종양 특이적 면역거부를 완벽하게 경감시키는 것을 관찰했다.

AHCC는 IL-12의 활성을 유도하고 NK활성을 증진시킨다. 이 연구는 AHCC의 면역 활성이 맥관 육종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현재까지 머리의 HAS(6), 다리의 HAS(1), 머리의 HAS(1)를 포함한 8사례에 AHCC를 투여하고 있다. 이 연구로 AHCC가 생명연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AHCC 투여로 간세포암에 현저한 효과 사례

(Asagikawa Kosei병원, 위장병학부 Hitoyoshi Ohta)

: AHCC는 종양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사멸시키고, 장기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연구자는 첫 번째 치료후에 간에 종양이 재발하고, 폐로 전이된 간세포암(HCC) 환자에게 AHCC를 사용해 극적인 효과를 본사례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