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암 환자의 금기식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8. 23.

암 환자의 금기식

 

금기식에 대하여 이론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금기식은 과학적인 근거보다는 주로 경험치에 의한 것입니다

서양의학은 금기식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나 대체의학에서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체의학적 견해는 모든 질병은 식원병(食原病)이라 하여 음식에 의해 질병이 생겼으므로 치료도 식품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며 인체에는
해로운 음식과 이로운 음식이 있다는
것입니다

◇제한식품

1) 인공식품이나 인스탄트 식품- 여기에는 발암 물질인 방부제, 발색제, 각종색소 등의 첨가물과 흰 설탕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예) 라면, 과자, 빵, 햄, 소세지, 통조림, 버터, 마요네즈, 케찹, 청량음료수, 커피, 초콜릿 등

2) 동물성기름- 동물성기름은 피를 끈적끈적하게 함으로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에 차질을 가져옴은 물론 인체 에
저항력을 떨어뜨려 암이 자라는 체질을 만들게 된다.

지방질을 제외한 살코기를 가끔 먹는 것은 나쁘지 않다

예) 돼지고기, 닭고기, 흑염소, 개고기

3) 조미료 ( 맛나, 다시다, 미원 등), 맛소금( 맛소금 대신에 구운 소금이나 죽염으로 대체), 설탕(백설탕 대신에 꿀이나
흑설탕으로 대체)

4) 자극적인 음식 - 너무 맵고, 너무 짜고, 너무 뜨겁고, 너무 찬 음식

5) 튀긴음식

6) 5백(白)식품(백미.밀가루.소금.설탕.조미료)은 현미,통밀,볶은소금,자연조미료로 바꾸어 사용

7) 식용유 (올리브유, 참기름, 들기름으로 대체)

8) 절인 음식, 탄음식

9) 게 - 암(cancer)의 어원이 희랍어로 "게"에서 유래 되었으며 암의 형태가 "게"를 닮았다고 해서 금기시 하고 있으나
근거는 없다

○ 모든 찌개나 국의 국물은 멸치, 다시마, 표고버섯, 무우로 한다.

○ 소오스는 무, 과일(배, 사과, 키위, 딸기...), 꿀, 깨, 현미식초, 레몬, 참기름으로 한다.

○요리법은 튀기는 방법보다는 굽기, 찌기, 끓이기를 한다.


○ 현대의학연구에 따르면 암에 걸리는 것은 소금에 절인 짠지, 절인 물고기, 튀긴 고기, 훈제품, 절인 육류, 곰팡이 낀 락화생,
콩, 옥수수를 장기간 식용한 것과 관계될 것이라고 한다.

이런 식품들은 암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암 증세를 더 가중시킬 수도 있으므로 먹지 말아야 한다.

절인 제품에 있는 아질산염, 곰팡이 낀 락화생(땅콩)의 아플라톡신은 암 유발성이 극히 강하다.

동물의 내장에는 지방이 많이 함유 되여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닭고기, 잉어, 돼지콩팥은 과민성 반응을 일으키는 음식들로서 병을 가중시키거나 다른 기관에로 이전시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암 환자는
이런 음식들을 먹지 말아야 한다.

자라, 거북, 해산물은 영양가가 높고 지방 함량이 적으며 암 예방에 이롭고 엉킨 것을 풀고 막힌 것을 소통시킨다고 한다.

다만 수술 전 후에 생선회나 육회는 삼가야 한다

그러므로 이런 음식들은 보조적인 식료법에 아주 좋은 음식들이다.

그러나 이런 식품들은 대부분 한랭성 물질이므로 너무 많이 섭취하면 비장과 위를 상하게 할 수 있다.

장어류는 기름 성분이 많으므로 기름을 바싹 태우거나 탕으로는 기름기를 걷어내고 먹어야 한다

계란과 우유가루는 영양가가 높고 먹기 편리하여 부작용이 없으므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간암환자는 계란과 우유를 많이 먹으면 복통이 심해지고 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게 먹으면 된다.

※상기와 같이 금기식이 있으나 기력이 너무 약하고 체력이 약한 분이나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는 금기식에 구애 받지 말고
무엇이든 먹어야 합니다.

암환자의 대부분이 영양부족으로 사망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