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맥으로부터 채혈을 합니다. 통상 30ml이상의 채혈이 필요합니다.
2.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림프구를 분리, 배양을 개시합니다.
3. 경시적으로 배양 림프구의 증식의 정도 및 세포 장애 활성을 측정합니다.
4. 림프구 배양은 사람에 투여가 허가됨에 따라 엄밀한 배양 시스템, 환경에서 행해집니다.
5. 치료에 이용하는데는 충분한 활성화 림프구의 배양을 할 수 있으면, 림프구를 세정해, 엔드톡신 등의 물질의 혼입을 검사한 뒤에 생리 식염수 등으로 부유해서 점적합니다.(링겔로 주사합니다.)
6. 필요에 따라서 링겔 이외에 흉강, 복강 또는 종양내로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 림프구의 배양의 조건, 상태에 게다가는 치료를 받는 당신의 상태에 따라 투여 간격은 결정되기 때문에, 일정한 방법으로 치료 계속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지만, 통상은 2~3주간에 1회 활성화 림프구를 이입해 2~3개월 계속, 그 후 치료 효과를 판정해, 다음의 치료를 결정합니다.
8. 치료 중, 치료 후는 효과 판정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검사를 행합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 세포 요법에 대해 (0) | 2008.08.13 |
---|---|
항종양 활성화 림프구 이입요법의 설명 (0) | 2008.08.13 |
항종양 활성화 림프구 이입요법의 부작용 (0) | 2008.08.13 |
하이파사미어란? (0) | 2008.08.13 |
하이파사미어는 왜 효과가 있는 것일까? (0) | 200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