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버섯 관련 글7968 차가버섯의 약리학 및 생물학적 특징 차가버섯의 약리학 및 생물학적 특징 (저자) N.N.바질레바, L.I.볼로트키나, E.M.라스키나, N.P.오스베팀스카야, L.I.스미르노바스몰렌스크 의과대학 내과학 강의진(부학장 P.N.스테파노프) (발행) 러시아 보건성 [우리는 자작나무 차가버섯의 약리학적, 생물학적 몇몇 성격을 임상에서 연구하는 과제를 안고 .. 2008. 10. 15. 차가버섯에는 항암물질이 없습니다. 차가버섯에는 항암물질이 없습니다. 차가버섯은 항암물질이 없으면서 암을 치료하는 이상적인 암 치료제입니다. 항암물질은 암세포를 죽이면서 동시에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항암물질이 정상세포에 가면 정상세포의 유전자를 변형시킵니다. 정상세포의 유전자가 변형된 것이 .. 2008. 10. 15. 차가버섯의 인공 재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차가버섯의 인공 재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러시아의 경우, 1950년 대 초부터 차가버섯의 인공 재배(栽培)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연구가 상당히 진척 되었고 재배에 성공 했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 원인으로 차가버섯 재배는 더 이상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고 그 이후로는 차가버섯 .. 2008. 10. 13. 화산재에 만들어진 검은나무 자작나무 차가버섯 지구상에 검은 자작나무라는 종류는 없습니다. 그리고 화산재는 생물학적으로 차가버섯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근거자료] ● 러시아의 약용 식물 자원 및 분포도 (oblique polypore) – Inonotus obliquus (Pers.)Pil .f.sterilis(Van) Nikol.Hymenochaefaceae 科 러시아 중앙정부 발행 2008. 10. 13. 차가버섯과 명현현상 명현 현상이란 명현(暝眩)의 한자 풀이는 "눈흐릴 명((暝)", "아찔할 현(眩)"으로 사전을 찾아보면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한의학상의 현상으로 복약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예기치 못한 여러 가지 반응을 의미합니다. 한방에서 의사가 환자에게 투약하여 치유되어가는 과정에.. 2008. 10. 13. 차가버섯의 불신 차가버섯을 복용하시는 분들이 조금씩이지만 계속 늘고 있고 완치자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2년 전만해도 차가로 암을 완치했다고 하면 수도 없이 전화가 오고 당사자를 만나게 해달라고 했는데 요사이는 차가로 암을 완치했다고 해도 연락 오는 사람도 거의 없고 뉴스거리도 못되는 것 같습니다. 차.. 2008. 10. 13. 이전 1 ··· 1262 1263 1264 1265 1266 1267 1268 ··· 1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