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비만

스크랩 “약 없이 44kg 뺐다” 20대 男, 비결로 ‘이것’ 끊었다 밝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4. 24.

[해외토픽]
 
윌 패틴슨(29)은 다이어트 약 없이 44kg 감량에 성공했다./사진=더 선
호주 20대 남성이 다이어트 약 없이 44kg 감량에 성공한 비결을 공개했다.

지난 20일(현지시각)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윌 패틴슨(29)은 매주 친구들과 파티를 하면서 노느라 130kg까지 살이 쪘다. 패틴슨은 “몸도 인생도 망가졌다”며 “4XL 크기 옷을 입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비만이었다”고 말했다. 패틴슨은 비만 때문에 고혈압, 당뇨병, 통풍 등 여러 합병증까지 앓았다.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는 다이어트를 결심했다. 패틴슨은 “약을 사용하지 않고 내 힘으로 빼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우선 금주를 시작했고 이는 체중 감량에 가장 큰 역할을 해줬다”며 “근력 운동도 처음에는 주 3회 했고 살이 빠지면서 4회까지 늘렸다”고 말했다. 이어 “러닝도 하고 간식이 먹고 싶을 땐 단백질 셰이크를 먹었다”고 말했다. 노력 끝에 패틴슨은 1년 동안 44kg 이상 빠져서 82.5kg이 됐다. 그는 앞으로도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을 유지해 비만을 예방할 계획이다.

▷금주=윌 패틴슨처럼 금주를 실천하면 체중을 관리할 때 도움 된다. 알코올이 은근히 열량이 높기 때문이다. 대한영양사협회에 따르면 소주 1잔(50mL)은 71kcal, 생맥주 1잔(475mL) 176kcal, 보드카 1잔(50mL) 120kcal, 막걸리 1잔(200mL) 92kcal에 달한다. 가장 칼로리가 낮은 소주도 1병(360mL)을 마시면 500kcal가 넘는다. 물론 이 열량들이 모두 지방으로 변해 몸에 축적되는 건 아니다. 그런데, 식이지방의 산화를 억제해 다른 음식의 섭취가 지방 축적으로 이어지는 걸 돕는다.

▷근력 운동=패틴슨처럼 근력 운동으로 근육을 키우면 기초대사량이 늘어난다. 기초대사량은 우리 몸이 기본적으로 신진대사에 사용하는 에너지양을 말한다. 즉 우리 몸이 호흡·체온 유지 등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다. 근육은 활동하고 신체기능을 유지하는 데 유독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같은 체중이라도 근육이 많으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기초대사량을 키우는 게 도움이 된다.

▷러닝=러닝은 전신을 골고루 자극하기 좋은 유산소 운동이다. 국소적 유산소 운동보다 심폐지구력 강화에 효과적이고, 시간당 소모 열량도 높다. 체중 70kg 성인을 기준으로 ▲수영은 360~500kcal ▲테니스는 360~480kcal ▲빨리 걷기는 360~420kcal를 소모한다. 반면 러닝은 약 700kcal로 높은 편에 속한다. 러닝은 체지방을 태워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공복 유산소 운동을 하면 더 큰 체중 감량 효과를 볼 수 있다. 운동 중에는 탄수화물과 지방이 같이 연소하는데, 공복 상태에서는 체내에 탄수화물이 없어 체지방이 더 빠르게 연소하기 때문이다. 다만, 당뇨병 환자는 공복 상태에서 운동하면 혈당이 급격히 올라갈 수 있어 피하는 게 좋다.

▷단백질 셰이크=패틴슨이 간식 대신 먹은 단백질 셰이크는 근육 증량에 좋다. 특히 근력 운동 후 단백질 셰이크로 단백질을 보충하면 도움 된다. 캐나다 맥마스터대 연구팀은 단백질이 근육으로 합성되는 정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섭취 시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운동이 끝난 지 45분 지났을 때 단백질 20~40g 정도를 먹는 게 가장 효과적이었다.

다만, 단백질 셰이크를 무조건 많이 먹는다고 해서 모두 근육으로 붙는 것도 아니다. 적정 단백질 권장 섭취량은 하루에 몸무게 1kg당 1~1.2g으로, 60kg의 성인이라면 하루 60~72g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이를 넘는 단백질을 추가로 섭취한다면 섭취 열량이 높아져 근육보다는 지방을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단백질 과다 섭취는 간과 신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몸속에 단백질이 너무 많으면 쓰고 남은 것을 분해하기 위해 간이 무리하고, 단백질 대사 과정에서 생기는 독소를 처리하면서 신장에 부담이 가기 때문이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21/2025042102560.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