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를 삼킨대서 큰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다. 가래는 외부로부터 기관지를 방어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산물이다. 대부분은 삼켜도 위액을 거치고 소화되면서 제거된다. 다만, 부득이 어려운 상황이 아니라면 뱉는 게 낫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김지혜 교수는 "하얗고 맑은 가래는 신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점액·죽은 세포·박테리아·먼지 등 미세 물질들이 많이 포함돼 있다"며 "감염성이 강한 질환에서 발생하는 가래의 경우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삼키는 것보다는 뱉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또 가래에는 감염성이 있을 수 있어서 반드시 휴지나 물티슈에 뱉어서 바로 휴지통에 잘 버려야 한다. 폐결핵 환자라면 더더욱 가래를 삼키지 않도록 한다. 김지혜 교수는 "가래 속 일부 결핵균이 소화기관으로 넘어가면서 생존해 장결핵을 유발할 수도 있다"며 "특히 결핵이 의심되는 피가 섞인 가래 등은 뱉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가래를 뱉을 때 하얗거나 맑은 색이 아닌 검정색, 누런색, 녹색, 벽돌색 등을 띤다면 폐렴, 기관지염, 폐암 등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20/202502200277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소한 건강 상식] 사랑니 빼고 술, ‘딱 한 잔’도 안 될까? (0) | 2025.02.25 |
---|---|
스크랩 ‘노안’ 온 사람이 스마트폰 ‘다크모드’ 설정하면 벌어지는 일 (0) | 2025.02.25 |
스크랩 ‘이쑤시개’가 ‘노화’와도 관련 있다고? 활성산소 유발 습관 5가지 (0) | 2025.02.24 |
스크랩 [소소한 건강 상식] 하루 종일 모니터 보는 눈, ‘보호 안경’ 쓰면 덜 피로할까? (0) | 2025.02.23 |
스크랩 낮에 졸리면서 ‘이 증상’ 동반되면, 치료 꼭 필요한 기면증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