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혜의 화장품사용설명서
1, 2월 피부과에 내원하는 피부질환 환자의 상당수는 가려움 때문이다. 가려움은 겨울철 대기가 차고 건조하며 난방의 결과다.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적이면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다. 간혹 ‘옴’이나 ‘아토피’, ‘건선’ 등의 피부질환이 있거나 ‘이뇨제’ 복용 등이 원인이 돼 감별할 필요가 있지만, 가려움의 원인은 대부분 건조다. 피부는 왜 건조해 지는 걸까? 나이가 들면서 노화에 의해 피부 표면 지질은 감소하고 피부에 존재하는 천연 보습 성분이 줄어들어 건조해진다. 건조한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는 미세한 비늘이 생기는데 주로 정강이 부분에 흔하게 나타난다. 이후에는 도자기에 금이 간 것처럼 피부 균열이 나타나고 울긋불긋해지고 가려워지기 시작한다. 더 심해지면 피부가 갈라져 가려움에 통증까지 더해진다. 가렵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하루 한번 샤워한다. 샤워하는 횟수를 체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아침에 샤워한 후 저녁에 또 샤워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루 두 번 이상의 샤워나 목욕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기 때문에 가급적 횟수는 줄이는 것이 좋다. 특별히 외출하지 않은 날에는 샤워를 하지 않는 것도 피부 건조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두 번째, 샤워 시간은 5분으로 제한한다. 샤워 부스에 작은 시계를 가져다 두고 샤워 시간을 체크해보자. 샤워는 5분, 목욕은 15분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물속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면 피부가 건조해져 가려움증이 악화될 수 있다. 관절 통증이나 기타 특별한 이유로 목욕 시간을 15분 이상으로 늘릴 경우 목욕 후 보습제를 1차 바른 후 5~10분 후 다시 보습제를 연달아 발라주는 것이 좋다. 세 번째, 샤워 물 온도의 체크가 필요하다. 샤워할 때, 뜨거운 물은 금한다. 뜨거운 물은 피부 장벽을 만드는 지질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가급적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피부 건조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뜨거운 온천이나 입욕은 특별한 날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매일매일의 샤워와 목욕은 미지근한 물로 해야 피부 가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 네 번째로 필요한 것은 비누의 선택이다. 민감한 피부를 위해 만든 부드럽고 수분이 풍부한 비누나 클렌저를 사용하고 스크럽이나 때미는 일은 피해야 한다. 비누나 클렌저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피부 각질 장벽을 손상시키는데 비누는 저농도로 반복 노출되기 때문에 1회 사용 시 자극이 없더라도 반복 노출 시 피부 장벽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지저분한 것들에 오염되었을 때는 자주 사용하더라도 습관적으로 매일 샤워하면서 많은 양의 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피부 건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가려움이 있을 때는 순한 계면활성제가 든 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알칼리성 비누의 사용은 피해야 한다. 알칼리성 비누의 대표적인 것이 빨랫비누다. 사용하는 고형의 비누가 단단하고 물에 잠겨있어도 잘 물러지지 않는다면 알칼리성으로 생각하면 된다. 순한 비누로 바꿔야 한다. 라놀린이나 글리세린 같은 보습 성분이 첨가된 것을 사용하면 피부 장벽의 파괴를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다. 다섯 번째, 비누나 클렌저를 부드럽게, 그러나 완전히 헹구어낸다. 부드러운 비누를 사용하면 미끈거리는 느낌이 있어 물로 헹궈도 비누 성분이 남은 느낌이 든다. 대충 헹궈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비누 성분이 피부에 남아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면 접촉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완전히 헹궈내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여섯 번째, 샤워볼을 버린다. 비누질을 할 때는 손으로 거품을 내서 몸에 부드럽게 바르듯 씻어주는 것이 좋다. 샤워할 때 샤워볼과 같이 거품을 많이 나게 하는 제품이나 때수건, 목욕브러쉬 등의 사용은 중단한다. 샤워 부스 안에 있는 거품나게 하는 제품은 모두 버리는 것이 피부 건조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일곱 번째, 촉촉하게 닦는다. 샤워 후 물기를 닦을 때, 강하게 닦아 물기가 하나도 없게 빡빡 닦아내기 보다는 수건으로 피부의 물을 살살 닦아내어 피부를 부드럽게 건조시키되, 젖은 느낌이 들도록 약간의 수분기를 피부에 남겨두는 것이 좋다. 수건으로 너무 건조시키면 자극이 가해져, 닦은 후부터 다시 가려움이 시작될 수 있다. 여덟 번째, 샤워 5분 이내에 보습제를 바른다. 샤워나 목욕 후 5분 이내에 전신 피부에 무향의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필요하다. 건조한 피부에 대한 피부 관리의 기본은 피부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고 유지해주는 것으로 샤워 후 보습제의 사용은 필수다. 나이가 들면서 보습제를 사용하는 것을 식후 이닦는 것과 마찬가지로 샤워 후 기본 과정으로 습관화해야 가려움을 줄일 수 있다. 아홉 번째, 긁고 싶은 부위에 보습제를 바른다. 순간 억제할 수 없게 긁고 싶은 가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럴 때는 긁지 말고 대신 보습제를 피부 연고처럼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때 사용하는 보습제는 점도가 묽은 로션타입 보다는 크림 혹은 오인트크림 타입의 제형이 도움이 된다. 긁고 싶은 충동이 들 때 1차적으로 긁는 대신 가려운 피부에 보습제를 부드럽게 바르면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되고 약제 복용이나 연고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번 겨울, 피부 가려움이 느껴진다면 위의 아홉 가지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이와 함께 환경적인 원인을 교정해주면 좋다. 차고 건조한 환경을 피하고 따뜻한 환경을 만들자. 피부 표피층의 수분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건조한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틀거나 실내에 빨래를 말리는 등 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노화가 피부 건조의 주요 원인일 때는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증상 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건조함이 점차 심해지면서 수면 장애가 생길 수 있고 긁은 부위에 상처가 생기면서 세균 감염이 일어나 곪을 수도 있다. 내과적으로 이상이 없는데도 가려움증이 지속적으로 심해지면 피부과 전문의 진료를 보고 적절한 치료제를 사용하면서 가려움을 완화시키자. 노력이 필요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3/202502130201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 맞으면 가려움 극심, 칼로 긁어내고 싶어”… 英 10대 여성 겪는 ‘물 알레르기’ 뭘까? (0) | 2025.02.11 |
---|---|
스크랩 레티놀·비타민C 피부에 최고라지만… 같이 쓰면 안 되는 화장품은? (0) | 2025.02.11 |
스크랩 추운 날씨에 손등 피부 땅기고 따끔, 핸드크림 소용없다면? (0) | 2025.02.10 |
스크랩 로션처럼 피부에 쓱… ‘바르는 백신’ 나오나 (0) | 2025.02.10 |
스크랩 피부 손상 없이도… 진피층까지 약물 전달하는 신기술 개발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