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음식&요리

스크랩 음식 빨리 먹으면 ‘간’ 나빠진다? “사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17.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음식 먹는 속도가 빠르면 '대사이상 지방간' 발병 위험이 커진다. 대사이상 지방간은 다량의 음주를 제외한 모든 상황으로 발생한 지방간을 말하는데, 최근 환자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2017년 28만 3038명이던 환자 수가 2021년 40만 5950명으로 5년 만에 약 43%나 증가했다. 걸리면 간암 발생률은 10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67% 올라간다. 심지어 효과적인 약은 없다. 다행히 예방 방법은 간단하다.

◇'먹는 속도' 늦춰야
먼저 '식사 속도'를 늦춰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연구팀이 식사 속도에 따른 대사이상 지방간 발생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먹는 속도가 빠를수록 지방간 환자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이 아닌 사람만 조사했을 때도, 식사 시간이 5분 미만으로 매우 빠를 때는 지방간 발병 위험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음식을 빨리 먹으면 식욕 억제 호르몬이 작용하지 못해, 폭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대사이상 지방간의 주요 발병 원인은 '폭식'이다. 과도하게 영양성분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남은 에너지원을 나중에 쓰려고 간에 지방 형태로 저장한다. 저장한 지방을 쓰지도 않았는데, 계속 과도한 에너지원을 섭취하면 간에 지방이 쌓인다.

음식이 배에 들어오면 위장관에서 식욕 억제 호르몬을 분비하고 뇌가 이를 인지해 그만 먹도록 신호를 보내는데, 이때 걸리는 시간이 최소 15분이다. 적어도 식사를 15분 이상 해야 과식을 방지할 수 있다. 대사이상 지방간뿐만 아니라 여러 대사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 고대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팀 연구 결과, 15분 이상 식사한 그룹은 5분 이내 식사한 그룹보다 고지혈증 위험이 1.8배, 비만은 3배, 당뇨병 위험은 2배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가 많은 식품을 먼저 먹으면 음식 속도를 늦추기에 수월하다. 삼키기 전 오래 씹어야 하는 음식이 많고, 소화가 천천히 돼 포만감을 빠르게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식이섬유가 많은 식품으로는 오이, 가지, 셀러리, 파프리카, 사과 등이 있다.

◇걸렸을 땐… 일주일에 1kg 감량해야
이미 지방간에 걸렸다면 지방간염으로 악화하기 전에 빠르게 간을 회복해야 한다. 가장 효과가 큰 치료 방법은 체중 감량이다. 초기 지방간은 체중을 3~5%만 감량해도 특별한 치료 없이 지방간을 없앨 수 있다. 일주일에 최대 1kg 감량을 목표로 운동, 식이조절을 하는 걸 권장한다. 단기간에 급격하게 살을 빼면 오히려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대한간학회는 비알코올 지방간 개선을 위해 하루 400~500kcal를 덜 먹는 걸 권고했다. 식단조절과 함께 일주일에 2번 최소 30분 이상 걷기, 수영, 조깅, 자전거 등 유산소 운동을 하면 수월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다. 목표 체중에 도달했다면 근력 운동으로 근육량을 늘려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1/2025021102746.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