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환우를 위한 식단

스크랩 위암 수술 후, 꼭 챙겨야 할 ‘올바른 식습관’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17.

 
위암 수술 후에는 고단백, 적절한 지방, 저탄수화물 음식​을 꼭꼭 씹어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위암은 2022년에만 2만9487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한 5위 암이다. 최근에는 발병률이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위암의 다양한 치료법 중 위절제 수술을 받으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위의 일부분 혹은 전부가 일시에 없어지게 된다. 이런 변화가 수술 후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위를 절제한 환자의 식사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김정구 외과 교수의 도움말로 위암 수술 후 올바른 영양 섭취법과 식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위는 식도를 통해 내려온 음식물을 담는 곳이면서 맷돌처럼 음식물을 갈아서 소장으로 내려 보내 영양소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생사와 관련한 영양의 중요한 부분은 영양소의 흡수와 관련되고 대부분의 영양소는 위가 아닌 소장에서 흡수된다. 그래서 위 없이도 살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위는 영양소의 원활한 흡수를 위한 준비를 해주는 곳이기 때문에 위 절제로 발생한 준비 기능의 손실은 다른 방법으로 충분히 보완해야 한다. 보완을 위해서는 음식을 먹는 방법에 주의가 필요하다. 음식을 천천히 조금씩 먹는 것으로 위의 저장 기능 손실을 보상하고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주는 위의 맷돌 기능은 꼭꼭 씹는 방법으로 대체 가능하다.

위절제 증후군은 위를 절제한 환자가 겪는 불편한 증상을 통틀어 부르는 말인데 대표적인 것이 ‘덤핑 증후군’이다. 즉 위에 내려온 음식물이 천천히 내려가지 못하고 빠르게 소장으로 내려가면서 생기는 다양한 증상을 말한다. 식후 30분 정도에 심장이 두근거리고 설사와 구역질이 생기는 조기 덤핑증후군과 식후 두세 시간 뒤 인슐린이 과다 분비되면서 저혈당 증상을 보이는 후기 덤핑증후군이 있다. 후기 덤핑증후군일 때는 식은땀이 나고 어지러움, 갑자기 기운이 빠지는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1~2년이 경과하면 대부분 증상이 호전되지만 시간이 상당히 경과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돼 고생하는 환자도 있다. 덤핑증후군은 식이 습관을 바꿔주는 것으로 어느 정도 조절과 예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식사는 소량씩 자주 꼭꼭 씹어서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고단백, 적절한 지방, 저탄수화물 음식을 섭취하고 수술 후 1~2개월 정도까지는 단순 당질(설탕, 꿀, 케이크, 이이스크림 등)의 과다한 섭취는 제한해야 한다. 식사 후에는 바로 움직이지 말고 15~30분 정도 비스듬히 기대 편안한 자세로 쉬는 것이 좋다. 증상이 심하다면 소화가 어려운 섬유소가 많은 음식의 섭취에 주의하고 간혹 국이나 물 등의 섭취가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는지 살펴본다. 필요한 경우 액체류 음식의 섭취량과 시간을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대다수의 환자는 식사량 감소로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통계로 봐도 위절제 환자 대부분이 수술 후 1년 이내에 체중이 감소하고 점차적으로 체중이 늘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수술 전의 체중을 회복하지 못한다. 특히 수술 후 3~6개월 동안 원래 체중의 약 10% 전후로 빠지는 경우도 꽤 흔하다. 체중 감소는 수술 결과가 나쁘다는 의미가 아니며 과도한 체중 감소가 아닌 경우 위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므로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위를 절제한 후 적응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살이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식사량이 전에 비해 줄어서이고 적응 기간이 지나면 체중은 새롭게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다만 2~3년 내 수술 전 몸무게로 돌아가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체중을 수술 전과 비교하기보다는 현재 신체 상태에 맞는 적정 체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수술 후 1년이 지나서도 지속적으로 체중이 감소한다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1/2025021102185.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