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이 있는 50대 여성 박모씨는 최근 수족냉증이 악화했다. 차가운 걸 넘어 손과 발이 아릿하게 저리고 찌릿한 고통까지 나타났다. 단순 수족냉증인 줄 알고 방치하다가 통증이 지속돼 결국 병원을 방문했고, 다발성 말초신경병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말초신경병증은 척추에서부터 근육·피부 등 신경 말단으로 이어지는 신경망이 손상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발 저림, 통증, 감각 둔화 등이 유발된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 요인, 당뇨병, 알코올 남용, 특정 약물의 독성, 감염 등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성 다발신경병증이다. 박씨처럼 특히 당뇨병 환자가 수족냉증이 심하면 말초신경병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우리 몸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말초신경계는 팔과 다리 등 신체의 말단 부위에 분포한다. 이 부위가 손상되면 마비, 근력 저하,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말초신경 질환은 말초신경 일부분이 압박돼 생기는 압박성 말초신경병과 전신의 여러 말초신경 이상이 함께 발생하는 다발신경병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압박성 질환으로는 손목터널증후군이 있으며 다발신경병은 주로 발과 손끝에서 시작해 점차 몸통으로 저린 범위가 넓어지는 특징이 있다. 수족냉증과 혼동되는 말초신경병증은 주로 다발신경병이다. 일반적인 손발 저림과 말초신경 질환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일반적 손발 저림은 혈액순환 문제나 특정 자세를 지속했을 때 발생하는 일시적인 문제로, 자세를 바꾸면 회복된다. 반면 말초신경 질환은 증상이 지속하며, 감각 둔화나 타는 듯한 통증, 근력 약화와 같은 신경학적 문제가 동반할 수 있다. 말초신경 질환의 진단은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이뤄진다.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므로, 원인을 명확히 확인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혈당 관리를 통해 진행을 늦추고, 항경련제와 항우울제로 신경통을 완화하기도 한다. 약 25%의 환자는 원인을 정확히 밝히기 어려우므로, 병력과 증상을 면밀히 보고해야 한다.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적이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피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다리를 꼬고 앉거나 팔꿈치에 압박을 가해 글씨를 쓰는 등 일상에서 반복적으로 신경에 압박을 주는 자세는 피한다. 또한, 가장 흔한 원인이 당뇨병으로 인한 말초신경 손상이므로 혈당과 혈압 관리를 철저히 유지해야 한다. 고려대구로병원 신경과 이혜림 교수는 “손발 저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단순한 증상으로 넘기지 말고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0/2025021002404.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가 두근두근? 혈관 부푸는 중일 수도… 언제 병원 가야 할까 (0) | 2025.02.18 |
---|---|
스크랩 항우울제 듣지 않는 환자, 뇌파 ‘이렇게’ 다르다 (0) | 2025.02.17 |
스크랩 신봉선, 1년만 ‘채혈’받는 근황… 어떤 병 앓고 있길래? (0) | 2025.02.11 |
스크랩 자칫하다간 실명될 수도… 치명적인 ‘눈 질환’ 4가지 (0) | 2025.02.10 |
스크랩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적극 활용해야”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