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을 닮았다고 이름까지 '한라봉'으로 지어진 이 과일은 1년 중 지금이 가장 맛있는 시기다. 맛있을 때 특히 더 맛있는 한라봉을 고르려면, 어떤 특징을 살펴야 할까? 한라봉이 수확되는 시기에 따라 다른데, 지금 유통되는 12~1월 수확 한라봉은 크고 껍질이 두꺼울수록 맛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관계자는 "제철 한라봉은 크기가 클수록 산도가 낮아 신맛이 덜하다"며 "작으면 오히려 산도가 높아 맛이 없다"고 했다. 수확 끝물인 2월을 넘어 생산된 한라봉은 반대로 작은 게 더 달고 맛있다. 감귤연구소 관계자는 "수확 시기를 늦추면 산 함량이 낮아지고 당도는 높아져 크기가 작은 게 맛있다"고 했다. 수확 시기에 상관없이 껍질이 ▲들뜨거나 ▲주름이 많은 한라봉은 맛이 없을 가능성이 크고, 손으로 들었을 때 묵직한 느낌이 들어야 과즙이 풍부한 상품이다. 한라봉은 사실 일본에서 개발된 품종이고, 미국 등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한라봉이 다른 나라보다 당도가 높은 편이다. 주로 재배되는 지역인 제주도는 수분이 잘 빠지는 현무암질 토양이라 과일이 스트레스를 받고 당도가 더 높아진다. 또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완숙된 후 수확해 더 달콤하다. 한라봉은 건강에도 좋다.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풍부해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비타민C도 풍부해 피로 해소와 감기 예방에도 탁월하다. 다이어트 식품이기도 한데, 한라봉 칼로리는 100g당 48kcal로 과일 중에서도 열량이 낮은 편에 속한다. 한라봉의 효능은 껍질에도 있다. 겉껍질에는 진정·항암 작용이 있는 '리모넨' 성분이, 속껍질에는 동맥경화, 뇌졸중 등을 예방하는 '헤스페리딘' 성분이 포함돼 있다. 한라봉 껍질을 먹을 때는 소금으로 문질러 농약 성분을 깨끗이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한다. 껍질을 말려 차로 끓여 먹어도 좋다. 한편, 한라봉을 보관할 때는 소금물에 깨끗이 씻고, 물기를 완전히 말린 후 눌리지 않게 냉장고에 두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너무 차가우면 혀의 미뢰가 맛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므로, 따뜻한 실내에 잠시 꺼내뒀다가 먹는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7/2025020703084.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암치유에 도움 > 항암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꾸 흰머리 나서 고민이라면, ‘이 음식’ 드셔보세요 (0) | 2025.02.12 |
---|---|
스크랩 손석구, 마트 가면 꼭 산다는 ‘이 채소’… 고기와 궁합 최고라는데? (0) | 2025.02.10 |
스크랩 ‘자연 보톡스’라 불리는 ‘이 음식’… 피부에 좋고, 혈당 조절에도 도움? (0) | 2025.01.29 |
스크랩 [밀당365] 신선한 ‘이 과일’, 혈당뿐 아니라 눈·수면 건강에도 이로워 (0) | 2025.01.23 |
스크랩 수십만 원 호가하는 ‘이 버섯’… 맛·향 좋고, 면역력 개선도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