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피부에 생긴 이상 증상으로 뒤늦게 담낭암을 알아차린 60대 남성 사례가 보고됐다. 인도의학연구소(AI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소화기내과 의료진은 만성 흡연자인 69세 인도 남성 A씨가 겨드랑이 근처 왼쪽 팔과 등, 오른쪽 윗배 쪽에 원인 모를 피부 병변이 생겨 병원을 찾았다고 밝혔다. 통증 없이 피부가 딱딱해지는 양상이었고, 일부는 대상포진 병변과 유사했다. 처음엔 항바이러스제, 피부 치료 국소제 등을 써봤지만, 낫지 않았다. 이후 뱃속 전산화단층촬영을 한 결과 담낭쪽에 3.6cm x 1.8cm x 6cm 크기의 덩어리가 있었고 주변 림프절이 두꺼워진 게 보였다. 조직 검사 등을 해본 결과 결국 담낭암이 확진됐으며, A씨가 겪었던 피부 증상은 담낭이 피부로 전이돼 나타났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A씨는 항암치료 등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A씨처럼 내부 장기에 생긴 암이 피부로 전이되는 사례는 아주 드물다. 인도의학연구소에 따르면 0.07%에 불과하다. 인도의학연구소 의료진은 "이런 희귀성으로 인해 피부 병변만 봤을 때 암 전이로 인한 것이라 유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피부로 암이 전이된 환자는 예후가 좋지 않아 생존 기간이 평균 1년이 채 되지 않는다"고 했다. 더불어 "그럼에도 피부 병변이 암 때문임을 알아채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암의 전신 확산을 조금이라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예후를 더 좋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담낭은 쓸개라고도 불리는 곳으로,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저장한다. 담낭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간흡충이다. 간흡충은 민물 생선을 회로 먹어 감염되는 기생충이다. 만성 담도염도 원인일 수 있다. 만성 담도염은 간내 담석, 담도 담석 등이 원인이다. 담석에 의해 염증이 생기면서 암이 될 수 있다. 담낭암은 사망률이 높은 편인데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서다. 게다가 주변에 간, 십이지장, 췌장 등 장기가 많아 발견됐을 때 전이가 이미 이뤄진 경우가 많다. 눈과 피부가 노래지는 황달까지 왔다면 이미 상당히 암이 진행된 상태일 확률이 크다. 담낭암은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만성 담도염, 담석, C형간염이 있는 고위험군은 복부초음파와 함께 황달 수치 등을 확인하는 검사를 해보는 게 좋다. A씨 사례는 '큐레우스' 저널에 지난 4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5/202502050272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종류별 암 > 담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담도암 수술 절제 범위 확인 위해 정밀 담도 내시경 중요성 확인 (0) | 2025.02.20 |
---|---|
스크랩 건강검진 해보니 ‘담석’ 있다던데… 담낭암 위험한 건 아닐까? (0) | 2025.01.13 |
스크랩 간외담관암 재발, 혈액검사로 6개월 전 예측 (0) | 2024.12.25 |
스크랩 재발률 높은 간외담관암, 혈액검사로 재발 예측한다 (0) | 2024.12.14 |
스크랩 누렇게 뜬 얼굴, 간 질환뿐 아니라… 예후 안 좋은 ‘이 암’ 때문일 수도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