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뇌 기능 떨어지지 않으려면… 지하철·버스에서 ‘이것’ 멀리하세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9.

 
이어폰을 자주 써서 청력이 손상되면 장기적으로는 뇌 기능이 떨어진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귀는 눈 못지않게 혹사당하는 기관이다. 현대인 대부분은 대중교통이나 공공장소를 이용할 때 이어폰과 헤드셋을 착용한다. 원하는 콘텐츠를 어디서나 즐길 수 있다는 건 장점이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청력이 나빠질 수 있다. 청력 감소는 더 큰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청력이 감소하면 뇌 기능이 떨어진다. 이 중에서도 치매와 연관 있는 ‘인지 기능’이 제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상 생활에서 받아들이는 소리 신호는 뇌를 계속 자극한다. 귀가 어두워지면 이 자극도 줄어든다. 5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청력에 따른 인지 기능을 평가했더니, 들을 수 있는 범위가 10데시벨 변할 때마다 인지기능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저하됐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있다. 잘 들리지 않아 대화가 단절되는 것도 치매 위험을 키운다. 대화할 때 말하고, 듣고, 생각하는 과정은 뇌를 활성화한다. 그러나 청력이 떨어져 상대방의 말을 제대로 듣지 못하면 대화 자체를 멀리하게 된다.

청력은 한 번 손상되면 되돌리기 힘들다. 소음 노출을 최소화해 예방하는 게 가장 좋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휴대용 음향기기는 최대 음량의 60% 이하로, 하루 60분 이내로만 쓰길 권장한다. 대중교통같이 시끄러운 공간에서는 최대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주변 소음 때문에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음량을 높이면 귀에 무리가 간다. 소음이 큰 공간에서 이어폰을 써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적어도 한 시간에 10분씩은 조용한 곳에서 귀를 쉬게 해야한다.

술·담배·커피 등은 귀 신경을 자극하고 혈관 수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멀리해야 한다. 비타민A·C·E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식품을 먹는 것도 청력 예방에 도움이 된다. 세브란스병원 연구에 따르면 50~80세 기준으로 비타민C를 많이 먹은 집단(상위 25%)이 상대적으로 적게 먹은 집단(하위 25%)보다 청력이 좋았다. 비타민A가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은 감·시금치·부추가 있고, 비타민C는 고추·키위·딸기 등에 풍부하다. 비타민E는 견과류·생선에 많이 들어 있다. 이 밖에도 이비인후과에서 청력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으며 귀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4/2025020402175.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