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음식&요리

스크랩 매운 음식 먹으면 땀 뻘뻘… 몸 더워서가 아니라 ‘病’ 때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1. 29.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얼굴에 땀이 지나치게 난다면 '미각 다한증'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때, 이마부터 인중에 이르기까지 온통 땀범벅이 되는 사람이 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몸이 더워지는 건 맞다. 건강에 이상이 없는 사람도 몸의 열을 낮추려 자연스레 땀이 난다. 그러나 얼굴이 땀으로 흠뻑 젖을 정도라면 ‘미각 다한증’일 수 있다.

미각 다한증은 다한증의 일종으로,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때 두피와 얼굴에 땀이 나는 질환이다. 주로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나타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시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을 때 땀이 흐를 수도 있다. 대개 이마·두피·콧등·입 주변에 땀이 집중적으로 난다.

다한증은 땀 분비를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겨서 생긴다. 미각 다한증은 미각 신경이 자율신경계를 자극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미각 다한증은 ▲뇌 수술을 받은 적이 있거나 ▲머리를 다친 적이 있거나 ▲대상포진에 걸린 적이 있거나 ▲당뇨병을 앓고 있는 등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병한다. 환자의 25%는 특별한 원인 없이 가족력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드물지만, 평소에 음식을 먹어도 땀이 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갑상선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미각 다한증은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점점 악화하는 질환은 아니다. 또 본인에게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만 피하면 일상생활이 불편하지도 않다. 너무 다양한 음식에서 반응해 음식을 가려 먹기가 힘들다면, 신경 전달 물질을 억제해 땀을 줄이는 약물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약 6개월 주기로 보톡스 주사 시술을 받아 증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증상에 따라 구체적인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상담받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2/2025012202960.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