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조림'은 명절 선물 중 빠지지 않는 품목의 하나다. 스팸은 연 매출의 60%가 명절 기간 판매되는 선물 세트에서 나올 정도다. 통조림 선물은 주로 기업에서 임직원에게 제공하는데, 이때 선택할 수 있다면 스팸보단 참치캔을 고르자. 13만여 명을 조사한 최근 연구 결과에서 스팸 등 가공육은 치매 위험을 13% 높이지만, 참치 등 생선류는 20%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공육, 치매 위험 높여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 영양학과, 하버드대 의대 브리검 병원 내과 등 공동 연구팀은 식습관이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13만 3771명을 최대 43년 추적·분석했다. 그 결과, 스팸과 같은 가공 적색육을 평균적으로 매일 21g 이상 섭취하는 사람은 8.5g 섭취하는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13% 더 높았다. 21g은 베이컨 두 조각, 핫도그 한 개 정도의 양이다. 스팸 1통은 가장 작은 사이즈가 80g이다. 보편적인 적색 가공육 1회 제공량인 85g을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 노화 속도가 약 1.6년 더 빨랐다. 연구팀은 "적색 가공육을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해 체내에서 '트리메틸아민 N-옥사이드'가 생산되는데, 이 물질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단백질 응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게다가 적색 가공육에는 뇌 건강을 해치는 포화지방과 소금양도 많다"고 했다. 이어 "더 장기적인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대신 가공 적색육을 견과류, 콩류나 생선류로 바꿔 섭취하면 치매 발병 위험은 20% 감소했고, 인지 노화 속도도 1.37년 느려졌다. ◇가공육 통조림보단 참치캔이 나은 선택 참치캔은 아무리 생선이라도 캔에 들어있는 음식인데, 과연 건강할까? 실제 참치보다는 부족하지만, 건강하다. 참치 등 생선류에서 건강에 좋은 영양소는 DHA, EPA 등 불포화 지방산인데,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통조림을 고온에서 살균하면서 일부 유실되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유지된다. 또 DHA 첨가 제품을 따로 출시하기도 한다. 다만, 나트륨 함량이 높은 편이므로 고혈압 등 대사 질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또 참치는 체내 중금속 농도가 높은 생선이므로, 임신부는 과다 섭취를 삼가야 한다. ◇조리 방법 바꾸면 유해도 줄일 수 있어 이미 스팸 등 가공육을 받았다면 먹는 방법을 바꿔보자. 가공육은 치매뿐 아니라 암 발병 위험도 높인다. 고기를 훈제, 염장, 경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할 때 발암물질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기를 아질산염으로 경화시키면 N-니트로소화합물이, 고기를 훈제하면 발암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발생하는 식이다. N-니트로소화합물은 체내에서 DNA를 손상시키고 산화스트레스 생성을 유발해 암세포를 키운다. PAHs는 폐암, 유방암, 위장 관련 암, 대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은 가공육을 50g씩 매일 먹으면 대장암 위험이 18%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조리법을 바꾸면 가공육이 몸에 미치는 안 좋은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최대한 직화를 피한다. 인제대 환경공학과 박흥재 교수팀이 가공육 조리법별로 PAHs 함량을 분석한 결과, 불에 직접 조리할수록 PAHs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프라이팬에 익혀 불꽃이 직접 닿지 않은 가공육은 검출한계 이하~22.1ng/g PAHs가 확인됐지만, 불꽃이 직접 닿는 숯불구이 가공육은 12.7~367.8ng/g이 검출됐다. 직접 열이 가지 않게 물에 데치거나 삶아서 익혀 먹는 게 가장 좋다. 구워서 먹고 싶다면 불이 직접 닿는 석쇠보다 돌구이판, 솥뚜껑, 프라이팬 등 불판을 활용하는 걸 추천한다. 곁들여 먹는 음식도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가공육을 먹을 땐 탄수화물보다 채소와 함께 먹어야 한다. 프랑스 보르도대 연구팀 연구 결과, 가공육을 감자, 곡류 등 복합 탄수화물과 함께 먹는 사람은 과일, 채소, 해산물, 가금류 등을 곁들여 먹는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0/2025012002344.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절에 빠질 수 없는 과일, ‘이것’ 잘 보고 고르세요 (0) | 2025.01.28 |
---|---|
스크랩 “커피 100일 끊었더니”… 백지연 ‘이곳’ 통증 사라졌다, 이유는? (0) | 2025.01.23 |
스크랩 참기름과 들기름, ‘영양 차이’ 아세요? (0) | 2025.01.22 |
스크랩 치즈, 종류별 영양 달라… 장 건강 생각하면 모차렐라, 다이어트엔? (0) | 2025.01.22 |
스크랩 귤 먹다가 노래질라… 하루에 ‘O개’가 적당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