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하던 사람이 담배를 끊으면 입이 심심하고 초조해진다. 이 느낌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담배를 피워 금연에 실패하곤 한다. 그러나 ▲변비 ▲흡연 충동 ▲체중 증가 등 금단 증상은 평소 식단으로 완화할 수 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총 열량 ▲지방 ▲콜레스테를 ▲알코올 섭취량이 많고, ▲섬유소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 등의 섭취는 적은 경향이 있다. 비타민과 섬유소는 체내 니코틴을 제거하므로 금연 시 충분히 보충해야 한다. 실제로 금연할 때 섬유소와 비타민이 풍부한 과일·채소를 충분히 먹을수록 금연 성공 기간이 길고, 니코틴 의존도가 낮다는 국내외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섬유소는 금연 후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먹어야 한다. 담배 속 니코틴은 몸을 각성시킴으로써 장운동을 활성화한다. 금연하면 체내 니코틴 농도가 옅어지며 장운동이 흡연할 때보다 둔화해, 일시적으로 변비를 경험할 수 있다. 변비가 괴로워 다시 흡연을 시작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장운동을 활발하게 만드는 섬유소를 충분히 먹으면 이런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금연 중엔 기름지고 맵고 짠 음식을 피하는 게 좋다. 이런 음식을 과식하고 나면 식후 담배 생각이 간절해진다. 비타민과 섬유소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잡곡 위주로 식단을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 담배가 당길 때마다 물이나 녹차를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다. 음료를 마시는 동안 흡연 욕구가 사그라질 수 있다. 체내 니코틴 제거에도 도움된다. 물은 몸속 니코틴과 타르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녹차의 카테킨 성분 역시 니코틴과 결합해 이를 체외로 배출한다. 금연 후 입이 심심하더라도 사탕, 초콜릿, 과자는 멀리한다. 대신 견과류나 카카오 함량이 높은 다크초콜릿 등을 먹는 게 좋다. 니코틴 금단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고칼로리 음식으로 보상하면 살이 찌기 쉽다. 간식은 한 번에 다 먹지 말고, 잘게 나눠 입이 심심할 때마다 한 조각씩 먹도록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14/202501140196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신과 교수의 경고 “정치 불안·경제 위기 속… 뉴스는 잠시 꺼두길” (0) | 2025.01.20 |
---|---|
스크랩 2025년도 '자동차보험 선별집중심사' 대상항목은? (0) | 2025.01.20 |
스크랩 담배 광고 금지하면, 새로 흡연 시작할 확률 ‘이만큼’ 감소 (0) | 2025.01.19 |
스크랩 “이렇게 더러운 줄 몰랐다”… 안에 ‘구정물’ 가득, 올바른 세탁기 청소법은? (0) | 2025.01.17 |
스크랩 “이렇게 더러운 줄 몰랐다”… 안에 ‘구정물’ 가득, 올바른 세탁기 청소법은?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