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가 지난해 말 국내 출시됐다. 서울아산병원, 부산 백병원, 가천대 병원 등에서 본격 레켐비 처방에 돌입했다. 다만, 신약인 만큼 올바른 사용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박기형 교수,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김건하 교수 등 대한치매학회 소속 11명으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는 국내 실정에 맞는 레켐비 사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발표했다. 가이드라인에는 ▲약물 투약 대상자 선정 ▲투약 전 필요한 검사와 준비 ▲투약 방법 ▲약물과 관련된 이상 반응 모니터링과 대처 방안 ▲환자와 보호자 상담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에 직접 작용해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첫 번째 치료제다.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에 쌓여 형성된 플라크를 표적으로 하는 항아밀로이드 단일 클론항체로, 뇌에 쌓인 플라크를 제거하고 신경세포 손상을 늦춘다.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 1795명을 대상으로 18개월 간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인지기능 악화 속도 27% 감소(CDR-Sum of Boxes 점수 기준) ▲아밀로이드 플라크 감소 ▲일상생활 수행 능력 개선(ADCS-MCI-ADL 척도) 등의 효과가 있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약물 주입 관련 이상 반응(26.3%), MRI 시 뇌부종이나 미세출혈 등 비정상적 신호 포착(ARIA, 12.6%) 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레켐비는 경도인지장애나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그리고 뇌 아밀로이드 생체표지자(PET 또는 뇌척수액 검사) 양성 환자 등을 대상으로 투약이 권고되고 있다. 투약 전 ARIA를 예방하기 위해 아포지단백E(APOE) 유전자형 검사와 뇌 MRI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투약 용량은 10mg/kg로 매 2주마다 정맥을 통해 주입한다. 정맥 주입 시설과 전문 인력,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에서 이뤄져야 한다. 다만, ▲심각한 약물 과민증이 있는 환자 ▲MRI 촬영이 불가능한 환자(금속 임플란트, 폐소공포증 등) ▲출혈성 뇌질환자 ▲항응고제 사용 환자는 사용이 제한된다. 이번 권고안의 제1저자인 박기형 교수는 “이번 가이드라인이 임상현장에서 레켐비의 올바른 사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 치료 패러다임의 전환점을 마련하며,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질병의 악화와 환자의 일상능력 저하를 지연시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잠재력을 보유한 약물로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토대로 학회를 비롯해 관련 전문의들이 추가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사용법을 제시하고 지원할 예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대한치매학회는 본 권고안을 ‘레카네맙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대한치매학회 권고안’이란 제목으로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최근호에 발표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14/202501140160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찬바람·자외선 탓 겨울에 ‘백내장’ 증상 악화… 노안과 다른 점은? (0) | 2025.01.20 |
---|---|
스크랩 보습제로 해결 안 되는 발 각질… 냄새·가려움 전혀 없는데, 무좀? (0) | 2025.01.20 |
스크랩 피부뿐 아니라 목소리·근력에서도 ‘나이’ 느껴져… 노화 늦추는 법은? (0) | 2025.01.17 |
스크랩 만성 염증이 치매 부른다던데… 매일 ‘이것’ 먹고, 30분 운동하면 걱정 끝 (0) | 2025.01.15 |
스크랩 밥 먹고 ‘이것’ 하면, 방귀 많이 나온다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