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백내장, 각막 굴절 수술 등 안과 수술을 앞두고 있다면 '안구건조증'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눈이 건조하면 각막 곡률 측정의 예측 정확도가 떨어져 수술 후 예후가 안 좋아지기 때문이다. 수시로 인공눈물을 넣어 안구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김동현 교수팀은 안구건조증이 각막 곡률 수치에 변화를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각막 곡률 수치는 백내장 수술이나 각막 굴절 수술에서 결과를 예측하는 매우 중요한 측정값이다. 측정값의 변동성이 높을수록 수술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수술 후 시력 예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연구팀은 2023년 3월부터 11월까지 60명의 백내장 수술 예정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첨단 안구 계측 검사장비 'IOLMaster 700'을 활용해 각막 곡률 수치를 2회 측정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각막 곡률 변동성이 높을수록, 안구건조증이 심했다. 각막 곡률 오차가 0.25D 이상으로 변동성이 높은 그룹이, 0.25D 미만으로 변동성이 낮은 그룹보다 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고, 각막 염색 점수는 높았다. 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을수록 눈물막 안정성이 낮고, 각막 염색 점수가 높을수록 각막 손상 정도가 높아 안구 건조증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막 곡률 오차가 0.25D 이상인 그룹은 눈물막 파괴 시간 평균 3.1초, 각막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각막 염색 점수는 평균 1.1점이었고, 0.25D 미만인 그룹은 각각 평균 4.0초, 0.6점이었다. 김동현 교수는 “안구건조증이 심할수록 안과 수술 후 굴절 값 예측 오차 가능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안과 수술 예정인 환자는 수술 전 안구건조증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며 "향후 연구를 통해 백내장 수술이나 굴절 수술 전 안구건조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적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안구건조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방법으로는, ▲인공 눈물을 주기적으로 넣고 ▲눈 온찜질을 하고 ▲눈꺼풀 청소를 하고 ▲디지털 기기를 이용할 때 20분에 한 번씩 멀리 쳐다보는 것 등이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2/23/202412230179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복강경수술 중 개복수술로 전환하면 합병증 2배 증가 (0) | 2024.12.29 |
---|---|
스크랩 조선대병원, 다빈치 Xi 로봇수술 400례 달성 '쾌거' (0) | 2024.12.26 |
스크랩 삼성서울병원, 심방세동 최신 치료법 ‘펄스장 절제술’ 시술 성공 (0) | 2024.12.22 |
스크랩 국제성모병원, 다빈치SP 로봇수술 100례 달성 (0) | 2024.12.20 |
스크랩 고대구로병원 신정호 교수, ‘단일공 로봇 천골질고정술 300례’ 돌파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