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인 비만은 치매 발병 위험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비만이어도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대사질환이 없거나 한 가지만 있는 비교적 건강한 비만이라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선 체질량지수(BMI, kg/㎡)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본다. 기존 BMI와 알츠하이머병 마커간 상관 관계는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돼 왔다. 하지만 비만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대사증후군까지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없었다. 고대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 공동연구팀은 비만 환자 중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라 인지 기능 저하 정도가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치매가 없는 45세 이상 한국인 17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를 BMI에 따라 ▲저체중(BMI 18.5 미만) ▲정상 체중(BMI 18.5~24.9) ▲비만(BMI 25 이상)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을 다시 대사증후군 기준에 따라 ▲대사건강그룹 ▲대사증후군그룹으로 나눴다. 대사건강 그룹은 허리둘레 기준을 제외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고혈압, 높은 공복혈당, 고중성지방, 낮은 HDL콜레스테롤)을 한 개 이하로 가진 경우로 정의했다. 이후 아밀로이드 PET, 뇌 MRI(자기공명영상), 인지기능검사 등을 진행했다. 아밀로이드 PET로 확인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이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다. 분석 결과, 오히려 비만 그룹에서 아밀로이드 축적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 비율이 저체중 그룹에서 73.9%로, 비만 그룹(37.0%)보다 높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니, 비만의 아밀로이드 축적 예방 효과는 대사적으로 건강할 때만 유효했다. 대사건강 비만 그룹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 비율이 29.6%로 낮았지만, 대사증후군 비만 그룹은 42.5%로 높았다. 또 대사건강 비만 그룹은 해마 용적이 두꺼웠고, 인지기능 점수가 높았다. 장기적으로 추적·관찰한 결과, 인지기능 저하 속도도 가장 느렸다. 강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 유무가 체중과 알츠하이머 마커간의 관련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체중과 대사증후군은 식이, 운동, 약물을 통해 교정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결과는 대사건강과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면 알츠하이머병 관련 치매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유명학술지인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1/11/202411110209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밀가루 음식 먹으면 뱃살 나오던데… 이유 대체 뭐지? (0) | 2024.11.15 |
---|---|
스크랩 “비만 기준 완화해야”… BMI에 따른 사망률 봤더니 ‘의외의 결과’ (0) | 2024.11.14 |
스크랩 “1년 반 만에 58kg 감량” 30세 여성… 저녁 식사 대신 ‘이 샐러드’ 먹은 게 비결? (0) | 2024.11.13 |
스크랩 요즘 들어 폭발하는 식욕, ‘이 스트레칭’만 해도 줄어들어 (0) | 2024.11.13 |
스크랩 살빼려면 ‘아침식사’가 중요하다… 남성은 ‘탄수화물’ 먹고, 여성은?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