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이자 포커플레이어로 활동하고 있는 홍진호(42)가 5일 '기흉'으로 인한 응급수술을 받았다고 밝혔다./사진=홍진호 인스타그램캡처
전 프로게이머이자 방송인·포커플레이어로 활발히 활동 중인 홍진호(42)가 '기흉'으로 인한 응급수술을 받았다고 밝혔다. 홍진호는 5일 자신의 SNS에 "얼마 전 생일 날 갑자기 가슴이 찌릿하고 숨을 쉬기 불편했다"며 "생전 처음 겪는 고통에 놀라 바로 인근 병원으로 달려갔다"고 했다. 이어 "진단 결과 기흉"이었다며 "심한 상태라 의사가 바로 큰 병원 응급실로 가 수술을 해야 할 것 같다고 해 큰 병원 응급실로 직행했다"고 했다. 그는 "접수 후 바로 입원 수속하고 폐에 흉관삽입(극악고통) 후 상태를 지켜보다가 오늘(5일)로 수술 일자가 잡혀 막 수술을 잘 마치고 나왔다"고 했다. 다만 아직 회복이 덜 되고 수술 직후라 한 동안 더 입원해야겠지만 중요한 상황을 잘 넘겼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가족이 생기고 지켜야할 게 생기고 난 후 겁이 엄청 많아졌다"며 "평소에도 건강 많이 챙겨야 할 것 같다"는 말과 함께 "다들 건강검진도 꾸준히 받고 항상 건강 유의하길 바란다"고 글을 남겼다. 기흉은 폐에 난 구멍으로 공기가 새며 흉막강 안에 공기가 차는 질환이다. 폐는 흉막이라는 두 장의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두 흉막 사이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공기가 차면 공기의 압력 때문에 폐가 쪼그라들어 제대로 호흡할 수 없게 된다. 기흉 환자는 주로 ▲가슴 통증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간혹 흉막강에 들어온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폐뿐만 아니라 심장까지 눌리는 '긴장성 기흉'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장이 눌리면 혈액 공급이 어려워져 호흡곤란과 청색증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기흉은 크게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으로 나뉜다. 일차성 기흉은 주로 10대 후반~20대 초반 젊은 남자에게 잘 나타난다. 이들은 보통 키가 크고 깡마른 특징이 있고 대부분 흡연자다. 지방이 부족해 체내 윤활액이 줄면서 폐가 자주 마찰해 기흉에 취약하다. 흡연을 주요 원인으로 추정한다. 이차성 기흉은 폐에 특정 질환을 오랫동안 앓은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 60~70대 중·노년 층에 잘 생긴다. 원인이 되는 폐질환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혹은 폐기종이 가장 많다. 결핵, 악성 종양, 폐섬유증, 폐렴도 기흉을 생기게 할 수 있다. 기흉은 흉막강에 찬 공기를 제거해 치료한다. 눌린 폐가 다시 확장되며 기능이 회복된다. 폐에 생긴 구멍 크기가 작고, 폐 밖으로 새어 나온 공기가 적으면 안정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이때 환자가 스스로 숨을 쉬도록 유도해 증상을 완화하는데, 코나 입으로 산소를 투여해 주면 더 빨리 좋아진다. 흉막강 내 공기가 많이 차 폐가 20% 이상 찌그러졌으면 새끼손가락 굵기 정도의 긴 튜브를 가슴 안쪽으로 넣어 공기를 몸 바깥으로 빼줘야 한다. 기흉은 재발률이 높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일차성 기흉 환자 30~50% 정도가 1년 내 재발하고, 재발한 적이 있다면 70% 이상이 또다시 1년 내 재발한다. 최근 치료를 받았다면 폐에 무리가 될 만한 행동은 삼가야 한다. 특히 흡연자라면 금연이 필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1/05/2024110501522.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천대 길병원, 로봇수술 2000례 시행 (0) | 2024.11.10 |
---|---|
스크랩 삼성서울병원,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도입 (0) | 2024.11.08 |
스크랩 인튜이티브, 차세대 로봇수술 시스템 ‘다빈치 5’ 국내 출시 (0) | 2024.11.03 |
스크랩 연세암병원 대장항문외과, 로봇수술 2000례 달성 (0) | 2024.11.03 |
스크랩 ‘수술실 직행 외상 소생술’, 중증외상 환자 생존율 높인다 (0)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