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에 음식 씹는 기능이 떨어진 것이 치매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그래픽
노년기에 음식 씹는 기능이 떨어진 것이 치매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병원·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노인의 저작 기능 저하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60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 5064명(남성 2195명, 여성 2869명)을 대상으로 8년을 추적 관찰했다. 씹는 기능은 1년 동안 밥을 삼키기 전에 평균적으로 씹는 횟수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남성의 경우 밥을 삼키기 전에 30회 이상 씹는 사람은 10회 미만으로 씹는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기억력이 더 빨리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30회 이상 씹는 남성의 치매 발생 위험이 10회 미만인 남성보다 2.9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치매 중에서도 예후가 더 나쁜 알츠하이머병은 같은 비교 조건에서 발생 위험이 3.2배에 달했다. 평균적으로는 평소보다 밥을 씹는 횟수가 5회 늘어나면 치매와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이 각각 16%, 23% 증가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남성 노인에서 씹는 횟수 증가와 치매의 연관성은 뇌 MRI(자기공명영상)에서도 확인됐다. 씹는 횟수가 많은 남성일수록 저작 조절 및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뇌 영역(백질, 측두엽, 후두엽 등)의 용적이 감소한 상태였다. 반면, 여성 노인에게서는 저작 횟수와 치매 위험 및 뇌 용적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식사할 때 씹는 횟수가 늘어나는 것은 씹기를 통해 뇌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치매 진행에 대응하려는 생체 내 자발적인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전두엽 피질 관련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를 동반한 뇌 용적의 감소도 노인의 씹는 능력과 인지 기능 저하를 연결하는 핵심 공통 병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 저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는 "노년기 저작 횟수 증가가 치매 병리에 대한 보상 행동일 수 있는 만큼 만약 나이가 들어 음식을 너무 오래 씹는 현상이 나타났다면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찾아 치매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고 말했다. 한편, 치매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그 악화 정도에 따라 아주 가벼운 기억장애부터 심한 행동장애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말하기·읽기·쓰기 등에 문제가 생기는 언어장애 ▲방향감각이 떨어지는 시공간 능력 저하 ▲성격의 변화 ▲비정상적인 행동 등도 치매의 주요 증상으로 꼽힌다. 따라서 치매는 본인 또는 가족이 조기에 증상을 알아차리는 게 매우 중요하다.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약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초기라면 기존 약물 등을 통한 치료로 어느 정도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27/202409270120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의료산업 연구 개발 크게 위축… ‘의정 갈등’ 장기화가 원인 (0) | 2024.10.04 |
---|---|
스크랩 도수 없는 ‘패션 안경’… 예뻐 보이지만 시력에는 최악 (0) | 2024.10.04 |
스크랩 전문직 소득 1위는 의사인데… 소득 가장 많이 오른 직종은? (0) | 2024.10.02 |
스크랩 병원장 결혼비용까지 대준 제약사, 세무조사 당하자 하는 말이… (0) | 2024.10.02 |
스크랩 스마트폰 쓰면서 ‘이것’ 안 하는 습관, 콧물·재채기 유발 (0)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