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과 혈압이 심하게 변하지 않도록 관리하면 인지 기능의 저하를 막아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혈당과 혈압이 심하게 변하지 않도록 관리하면 인지 기능의 저하를 막아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서상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가 없는 2600여 명을 대상으로 혈당과 혈압 변동성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혈당 변동성이 커질수록, 즉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질수록 대뇌 백질의 변성이 나타나고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이 늘었다. 대뇌의 백질에 퍼져 있는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 생태를 백질 변성이라고 하는데, 통상 변성이 클수록 치매와 뇌졸중 발병 위험이 커진다.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경우 뇌 속에 과도하게 쌓인 후 뇌세포의 골격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우 단백질의 이상이 겹치면 신경세포가 파괴되고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 혈당은 불규칙한 식사나 고탄수화물·단순당 섭취 등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는데, 이런 식습관이 인지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혈압 변동성과 인지 기능의 연관성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변동성이 클수록 타우 축적이 증가했고, 특히 이완기 혈압이 크게 변할수록 장기적 기억을 조절하는 뇌의 해마 부위가 위축됐다. 이처럼 혈당과 혈압의 수치뿐만 아니라 그 변동성도 질병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관리가 중요하다. 연구 저자인 서상원 교수는 "치매 예방을 위해 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해야 한다"며 "혈당 조절을 통해서도 치매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치매 유병률은 10.4%이며,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추정 치매 환자는 2022년 기준 93만5000여명이다. 2022년 치매로 사망한 사람은 총 1만4136명으로, 1년 전보다 36.6% 늘었다. 치매는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 약이 없어 예방이 최선이다. 최근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치매를 유발하는 위험 요소에는 ▲청각 장애 ▲고혈압 ▲흡연 ▲비만 ▲우울증 ▲신체 활동 부족 ▲당뇨병 ▲과도한 음주 ▲외상성 뇌 손상 ▲대기 오염 ▲사회적 고립 ▲시력 저하와 ▲고지혈증 등이 있다. 연구팀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이러한 '수정 가능한' 위험 요소를 해결할 경우, 치매 발병의 45%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26/2024092602296.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먹방 유튜버 줄줄이 사망… 몸 ‘이렇게’ 병들어 갔을 것 (0) | 2024.10.04 |
---|---|
스크랩 대변 너무 많이 보면, 대장뿐 아니라 ‘이 장기’ 안 좋은 걸 수도 (0) | 2024.10.03 |
스크랩 일교차 10도 넘는 요즘… ‘이 질환’ 발생하기 쉬워 주의 (0) | 2024.09.27 |
스크랩 근육 빨리 키우려고 ‘이것’ 한 번만 써도… 간·심장 망가진다 (0) | 2024.09.26 |
스크랩 혈액 검사 시 ‘이것’ 보면, 비만·당뇨병 예측 가능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