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항암

스크랩 재발 잦은 자궁내막암, 사망 위험 낮추는 면역항암제 나와… 희망 보인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9. 12.

면역항암제 젬퍼리/ 한국GSK 제공

9월은 '부인암 인식의 달(Gynecological Cancer Awareness Month)'이다. 부인암은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질암 등을 말한다.

부인암 인식의 달은 5분마다 한 명이 진단되고 있는 부인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증상, 위험 요인, 조기 검진에 대한 정보를 널리 알리기 위해 여성 암재단(Foundation for Women’s Cancer)이 1999년 제정했다.   

부인암 중에서도 자궁내막암은 유병률과 사망률 모두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지난 40년 간 생존율이 개선되지 않은 소수의 암종 중 하나이다. 9월 부인암 인식의 달을 맞아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자궁내막암에 대해 살펴본다.

◇자궁내막암 급증세… 40대 이상에서 많아
자궁 체부 중 내벽을 구성하는 자궁내막에서 생기는 암인 자궁내막암은 자궁체부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자궁체부암‧자궁경부암‧난소암으로 꼽히는 3대 부인암 중 자궁체부암은 2015년까지 국내 발생자수가 가장 낮았지만, 빠른 증가세를 보이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부인암 발생자수 1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자궁내막암의 급증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2040년까지 전세계 여성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종 3위, 사망원인 4위를 자궁내막암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자궁내막암 환자의 78% 이상은 40대 이상으로, 특히 폐경 이후 질출혈이 있다면 자궁내막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자궁내막암은 자궁경부암과 달리 권장되는 조기검진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비만 ▲당뇨 ▲출산을 적게 경험한 경우 ▲가족력 등 자궁내막암의 위험인자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불규칙한 자궁출혈이 있을 경우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폐경 후 질출혈 외에도 ▲불규칙한 자궁출혈 ▲생리량 과다 ▲성관계 후 질출혈 ▲복부∙골반 압박감 등이 자궁내막암 증상으로 꼽힌다.

자궁내막암의 기본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이며, 일반적으로 조기에 발견되는 경우 예후가 좋다. 자궁내막에 국한된 경우 5년 상대생존율은 96.9%에 달하지만, 자궁내막암 4기의 경우 5년 상대생존율이 18%까지 급격히 낮아진다. 또한, 자궁내막암 환자 5명 중 1명(18%)은 재발을 경험하며, 재발성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0% 미만(8.7%)이다. 실제로 임상 시험에 모집된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1년을 넘지 못한다. 

20년 간 자궁내막암 환자의 증가 추이

◇전이된 자궁내막암 재발 위험 높아 
초기 자궁내막암의 경우 재발 위험은 10~15%지만 종양이 커지고, 전이가 된 중기·말기의 경우 재발 위험이 40~70%까지 증가한다.

자궁내막암의 재발은 대부분(87%) 추적 관찰 기간 중 첫 3년 이내에 발생한다. 재발한 경우는 항암 치료를 해야 한다. 그동안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표준 치료로 백금기반 화학요법(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이 사용됐지만, 평균 생존 기간은 3년 미만으로 예후가 좋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 3월 국내에서 재발성 또는 진행성 자궁내막암 치료에 면역항암제 젬퍼리(도스탈리맙) 병용요법이 허가를 받았다. 자궁내막암 환자 4명 중 1명은 dMMR(25%) 또는 MSI-H(26%) 바이오마커를 보유하는데, 해당 바이오마커가 확인된 경우 면역항암제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해외, 국내 가이드라인에서는 모든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dMMR에 대한 선별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면역항암제 젬퍼리는 백금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 치료로 dMMR/MSI-H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대조군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72% 낮췄다는 연구가 있다.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재원 교수는 “젬퍼리는 지난 20년간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연구 중 유일하게 백금기반 화학요법 대비 유의한 전체 생존율(OS) 및 무진행생존율을(PFS) 모두 개선한 치료제”라며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주요 의료기술평가(HTA)국에서 급여 권고되고 있는 만큼, 국내 환자들도 임상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적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09/202409090199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