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사진=Neurosurgery 제공
사람의 뇌에 이식된 전극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은 컴퓨터가 사람이 상상하는 음절을 대신 말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더 발전하면 루게릭병 등으로 말하는 능력을 잃어가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팀은 사람이 음절을 떠올리면 기계가 이를 대신 말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활용했다. 음절을 발음하거나 떠올릴 때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파악하려면 뇌의 깊숙한 곳에 전극을 심어야 한다. 연구팀은 신경외과적 수술을 앞둔 환자를 한 명 모집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수술 도중 환자의 뇌에 전극을 이식했고 회복한 그에게 ‘a’와 ‘e’ 두 음절을 반복적으로 소리 내 말하도록 지시했다. 환자가 음절을 발음할 때 뇌 활동을 기록한 연구팀은 딥러닝 과 머신러닝을 사용해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시켰다. 그 결과, 인공지능은 환자가 a나 e를 떠올릴 때 활성화되는 특정 뇌 영역을 식별할 수 있게 됐다. 이어서 연구팀은 환자에게 자신이 a와 e를 발음한다는 걸 상상하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두 음절을 발음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인식한 컴퓨터가 미리 녹음된 a 또는 e 음절을 재생했다. 정확도는 약 85%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음절을 발음할 때 활성화되는 개인의 뇌 영역을 식별하고, 이를 컴퓨터로 발음하게 만든 최초의 연구다. 연구의 저자 아리엘 탱커스 박사는 “우리의 목표는 컴퓨터가 완전한 어절을 발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우리 연구는 언어 생성을 위한 뇌의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로, 발성과 관련된 근육이 완전히 마비된 사람에게 소통의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신경외과(Neurosurger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17/2024071701762.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모기 물린 곳 ‘이렇게’ 변했다면… 알레르기 일종 스키터증후군 의심 (0) | 2024.07.22 |
---|---|
스크랩 여름만 되면 많아지는 바퀴벌레… 예상치 못한 '이것' 따라 들어온다 (0) | 2024.07.20 |
스크랩 폭우에 젖은 우산, 그냥 두지 말고 ‘이렇게’ 말려야 오래 쓴다 (0) | 2024.07.20 |
스크랩 누가 봐도 ‘동안 vs 노안’… 성형외과 의사가 뽑은 차이점 2가지 (0) | 2024.07.19 |
스크랩 이건 '음식물쓰레기' 아니었어?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하는 '의외의 식품' 6가지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