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휴가의 계절이다. 여름이 되면 더위를 피하고자 산으로, 바다로 떠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도로에서 멀미가 시작되면 목적지에 도착하기도 전에 지치고 만다. 멀미가 생기는 이유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눈과 전정기관이 느끼는 감각 간극, 멀미 유발해 차, 배, 비행기 등에 의해 몸이 흔들릴 때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멀미라 한다. 멀미는 눈이 인식한 움직임과 몸속 전정기관이 느낀 움직임의 차이로 발생한다. 전정기관은 귀 가장 안쪽에 위치해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뇌에 전달해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관이다. 구체적으로는 우리 몸이 흔들릴 때 전정 속 림프액과 이석이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탈것에 오르면 몸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데, 시각 정보는 그만큼 크게 변하지 않아 괴리가 생긴다. 구불구불한 산길을 오를 때 멀미가 심해지는 것도 감각 간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멀미 예방하려면 뇌 혼란 줄여야 차내에서의 행동이 멀미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책이나 스마트폰 등 작은 물체에 집중하면 정적인 시각 정보와 신체 움직임 사이 괴리가 커져 멀미가 심해진다. 대신 시선을 창밖으로 둬 동적인 시각 정보를 받는 게 좋다. 실제로 운전자는 넓은 앞 유리를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도로 상황을 인식하기에 동승자보다 멀미를 덜 한다. 아예 눈을 감아 시각을 차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차만 타면 졸음이 쏟아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뇌가 몸을 재워 감각 정보를 무시해 혼란을 피하려 하는 것이다. 한편, 과식을 한 후 탑승하거나 차량 내에서 음식을 먹으면 위장이 민감해져 메스꺼움이 심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멀미가 심한 경우 미리 약 먹기 성인이 되면 멀미가 줄긴 하지만, 심한 경우 미리 약을 먹는 게 좋다. 멀미약의 원리는 간단하다. 시각과 상반된 전정기관의 정보가 뇌의 구토 중추를 자극하면 구역감이 발생하는데, 이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하는 것이다. 멀미는 일단 생기면 약을 먹는다고 해소되지 않는다. 차량에 탑승하기 전 적절한 용량의 약으로 미리 예방해야 한다. 먹는 멀미약은 승차 30~1시간 전에 복용하고, 붙이는 멀미약은 4시간 전에 붙여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단, 붙이는 멀미약을 만진 후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붙이는 멀미약에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하는 스코폴라민 성분이 들어있다. 스코폴라민이 눈에 들어가면 부교감신경의 억제로 동공이 확장되고 시야가 흐려질 수 있다. 녹내장이나 전립선 비대증을 앓고 있다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4/202407040202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여행을 떠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파슬리 뿌린 줄 알았는데… 태국서 삼겹살 먹다가 ‘마약사범’될 수도 (0) | 2024.07.09 |
---|---|
스크랩 진드기 물려 사망자 발생… 증상 '이럴 땐' 꼭 병원 가세요 (0) | 2024.07.08 |
스크랩 히말라야 '은둔 왕국' 부탄에선 무엇을 깨닫게 될까? (0) | 2024.07.07 |
스크랩 해외여행서 ‘이것’ 없는 숙소 묵었다간 감염병 위험 (0) | 2024.07.04 |
스크랩 아이들 ‘마른 익사’ 막으려면, 물놀이 후 ‘이것’ 하는지 확인을 (0)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