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경희대학교병원은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가 심리적 회복 탄력성이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 연구팀(김선우 전공의)은 심리적 회복 탄력성과 인지기능 저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노인노쇠코호트 연구로 모집된 70~84세 지역사회 거주 노인 1826명을 대상으로 간이 회복 탄력성 척도인 BRS(Brief Resilience Scale)를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 적응 능력을 확인하고, 2년 전후의 인지기능 정도를 평가한 것이다. BRS는 개인이 스트레스나 역경을 얼마나 잘 회복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심리학적 척도다. 단순하고 간단한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어 개인의 회복 탄력성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총점은 30점이다. 연구팀이 BRS 점수와 인지기능 평가도구인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BRS 점수가 1점 높을수록 2년 후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가 0.175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는 2년 동안 평균 0.2~0.3점 나빠지는 것으로 보고된다. 원장원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BRS 점수가 높으면 인지기능 점수가 오히려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정신적 스트레스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마음의 근력인 ‘회복 탄력성’을 높인다면,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 영문지 ‘KJFM’(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에 발표된 바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6/12/2024061201751.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로 산 옷, 안 빨고 입다간… 피부에 ‘발암물질’ 묻히는 셈? (0) | 2024.06.16 |
---|---|
스크랩 요즘 부쩍 울적해 보이는 엄마, 살펴야 할 정신질환은 (0) | 2024.06.14 |
스크랩 정액에서도 나왔다… “미세플라스틱, 생식 능력 감소시킬 것” (0) | 2024.06.13 |
스크랩 끊었다가도… 술 마시면 왜 담배가 고플까? (0) | 2024.06.13 |
스크랩 유비케어 원내 처방 의약품 분석 솔루션 ‘UBIST Clinic’, 신규 서비스 론칭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