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뉴스1
지난 2월 우리나라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회원국 중 주요 선진국을 제치고 3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튀르키예, 아이슬란드가 1, 2위였다. OECD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평균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5.32%였다. 우리나라는 6.95%로 크게 웃돌았다.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이 OECD 평균을 넘은 건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직적인 지난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만이다. 우리나라 보다 물가 상승률이 높은 국가는 튀르키예(71.12%)와 아이슬란드(7.52%) 뿐이었다. 우리나라 물가가 크게 오른 중심에는 사과·배, 채소 등 신선식품이 있다. 기상 조건 악화로 신선식품 물가지수(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는 전년 동기보다 무려 19.5%나 뛰었다. 특히 사과 물가는 88.2%나 올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도 지난달 기준 품목별 물가 상승률이 과일 40.3%, 채소 10.9%, 외식 3.4%로 신선식품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세계 물가가 지난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후로 급상승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이후 물가 상승률은 안정돼 지난 2월 전쟁 직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3.81%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반등했고, 결국 OECD 평균을 넘었다. 앞으로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로 확대된 국제유가의 불확실성, 높은 원-달러 환율 등이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23/202404230184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담뱃값 비싸서 끊고 싶다는 英 흡연자들, 얼마나 비싸길래 (0) | 2024.04.24 |
---|---|
스크랩 대통령실 "의료계 없어도 의료특위 가동… '원점재검토' 고수 유감" (0) | 2024.04.24 |
스크랩 성균관의대 교수들 “정부,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라“ 의대 증원 철회 요구 (0) | 2024.04.24 |
스크랩 무조건 좋다고만 하는 ‘예스맨’, '착한 아이 증후군'이라고? (0) | 2024.04.23 |
스크랩 의료계, 정부 중재안 모두 거부… 복지부 "의료개혁특위 참여해달라"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