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의 날숨 냄새를 이용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구분하는 훈련을 받은 개 아이비(Ivy. 왼쪽)와 캘리(Callie)가 냄새 감지 실험을 하고 있다./사진=Frontiers in Allergy/Laura Kiiroja et al.제공.
개를 훈련하면 날숨 냄새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로라 키로자 박사 연구팀은 PTSD 안내견이 날숨 속의 PTSD 증상 관련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감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PTSD 진단을 받은 14명을 포함해 트라우마를 경험한 26명의 날숨 냄새를 수집했다. 이들이 평온한 상태에서 쓰고 있던 마스크와 트라우마 경험을 상기시키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쓴 마스크는 각각 안내견 훈련과 실험을 위해 보관됐다.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받은 스트레스 수준과 감정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했다. 연구팀은 이어 참가자들의 마스크를 이용해 반려견 25마리에게 평온한 상태의 날숨과 스트레스 상황의 날숨을 구분하는 훈련을 했고, 최종적으로 아이비(Ivy)와 캘리(Callie) 두 마리가 두 날숨을 구분할 정도의 숙련도에 도달했다. 아이비와 캘리는 마스크 조각에서 나는 냄새만으로 참가자가 평온한 상태인지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인지 90% 정확도로 구분해냈다. 또 한 번에 마스크 조각을 하나씩만 제시하는 실험에서는 아이비는 74% 정확도, 캘리는 81% 정확도로 스트레스 상황의 날숨을 찾아냈다. 이를 설문을 통해 파악한 참가자들의 스트레스 상황 감정과 비교한 결과, 아이비는 불안과 연관성이 있는 냄새를, 캘리는 수치심과 연관성이 있는 냄새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환자의 위험 상황을 조기에 경고할 수 있게 PTSD 안내견을 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개가 호흡의 스트레스 표지자를 감지할 수 있다면 발작 등 위험 상황을 초기에 발견해 경고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 저자 키로자 박사는 "이 연구는 표본 40여 개를 사용한 개념 증명 연구로 향후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며 "검증에서는 더 많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수집한 표본으로 개들이 스트레스 VOC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레르기 프런티어스(Frontiers in Allerg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3/29/202403290207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마이온리독 My Only D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양이가 귀여운 동네 카페, ‘불법 영업’이라고? [멍멍냥냥] (0) | 2024.04.14 |
---|---|
스크랩 반려동물 정책은 총선용? “세금 쓴다고 아까워 말아야” [멍멍냥냥] (0) | 2024.04.03 |
스크랩 화장보다 환경 오염 적다는 반려동물 ‘수분해장’, 국내서도 가능해질까? [멍멍냥냥] (0) | 2024.04.01 |
스크랩 갑자기 알레르기 증상 보이는 반려동물… 대부분은 사료 말고 ‘이것’이 원인 [멍멍냥냥] (0) | 2024.03.31 |
스크랩 핏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맹견… 4월부터 미허가자는 사육 불가 [멍멍냥냥] (0) | 2024.03.29 |